불면증, 약보다 생활습관 개선 '최선'

약물치료, 의존성·중독 초래…의·약사와 용량·용법 상의해야

입력 : 2016-11-02 오전 8:00:00
[뉴스토마토 이보라기자] 머리만 베개에 대면 잠이 든다는 사람이 있는 반면, 쉽게 잠이 들지 못해 고통스러운 밤을 보내는 이도 있다. 매일 저녁 술을 마시고 지친 다음에야 잠이 들기 때문에 오랫동안 술을 마시다가 술에 중독되는 사람도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도움말을 통해 수면증의 주요 증상과 치료제에 대해 알아본다.
 
불면증이란 잠 들기 힘들고, 자다가 깨서 잠을 계속 유지하기 어렵거나, 너무 일찍 깨서 다시 잠들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이런 상태가 3주 이상 지속될 경우 임상적으로 불면증 진단을 내리고,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 불면증으로 분류한다. 잠을 부르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몸에서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 수면장애에 시달리게 된다. 이런 증상은 나이가 들수록 심해지기도 한다. 55세 이후가 되면 멜라토닌 분비량 줄어들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불면증을 포함한 수면장애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9년 약 26만명에서 2013년 약 38만명으로 45%정도 증가한 것 나타났다.  2013년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더 높게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면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불면증의 원인제거와 함께 생활습관을 교육해 수면의 질을 개선하거나, 수면에 대한 걱정 등 불안을 없애는 등 여러 가지 비약물학적 치료 방법을 먼저 적용한다. 이러한 방법이 효과가 없을 경우 약물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수면제로 허가 받은 불면증 치료 약물은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으로 나눌 수 있다.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한 대표적인 전문의약품으로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인 트리아졸람과 비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인 졸피뎀 등을 들 수 있다. 
 
이 약물들은 뇌 중추신경의 GABA 수용체에 직접 작용해 신경전달을 촉진하면서 수면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해 의존성과 중독을 일으켜, 사용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약물들은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또 장기복용 시 심리적 의존성의 위험성이 있어 약물에 따라 3~4주 이상의 지속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우선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총 수면시간을 증가시켜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줄이며, 불면증의 단기치료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중노년층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장기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인지기능 저하로 해 낙상, 엉덩이뼈 골절 위험이 커져 사용시 주의해야 한다.
 
졸피뎀 성분의 수면제는 약물이 효과를 나타내는 시간이 빨라 잠들기 어려운 불면증에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에 가급적 취침 직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약물 복용시 완전히 깨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을 하고 이를 기억하지 못하는 수면운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은 알코올이나 권장용량을 초과했을 때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식약처는 졸피뎀의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일일 권장복용량을 낮추도록 주의 권고했고, 쇠약한 환자 등에 대한 최초 투여량도 낮추도록 했다.
 
이외의 전문의약품으로는 멜라토닌 수용체 작용약물이 있다. 국내 허가 받은 멜라토닌 의약품은 체내에서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제다. 복용 시 씹거나 부수지 않고 통째로 복용해야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일반의약품으로는 항히스타민제 약물인 디펜히드라민이나 독실아민이 있다. 항히스타민은 콧물, 비염, 가려움증 등의 알레르기 증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초기에 개발된 항히스타민 중에는 부작용으로 졸음을 유발하는 성분들이 있어 이를 역으로 이용해 수면을 도와주는 약물로 개발된 것이다.
 
하지만 약국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일반의약품이라고 해서 함부로 복용해서는 안된다. 복용법, 용량 등을 의사, 약사와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히스타민제 약물은 보통은 하루 1회 잠들기 30분 전에 복용해야 한다. 가장 낮은 용량부터 시작해야 한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다음 날까지 졸음이 지속되거나 낮은 신체 운동성, 몽롱한 시야, 목마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협심증, 부정맥, 녹내장, 전립선 비대증, 배뇨곤란, 호흡곤란 등이 있는 환자는 복용을 주의해야 한다. 복용량을 초과하면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어 권장용량을 복용해야 한다.
 
이들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에는 다른 수면제, 감기약, 해열진통제, 진해거담제, 다른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복용하면 과도한 진정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이미프라민계 항우울약이나 항파킨슨약과 병용할 때는 요로폐색, 변비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일시적 불면증을 해소하기 위하거나 불면증 치료의 보조제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장기간 복용해서는 안된다. 불면증에 사용하는 약물들은 의존성, 내성, 금단 증상 등이 생길 수 있다. 건강한 수면을 위해서는 약물치료에 의존하기보다 생활습관 개선 등 기본 원칙을 세워 꾸준하게 노력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불면증에는 약물에 의존하기 보다는 생활습과 개선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진/뉴시스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이보라 기자
SNS 계정 : 메일 트윗터 페이스북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