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규모 6조6000억원. 국내 독보적인 증권사로 도약한 통합 미래에셋대우가 출범 초기부터 내부 진통을 겪고 있다. 통합법인 출범 첫날부터 전산장애로 곤욕을 치른 가운데 옛 대우증권 노동조합과의 마찰음이 계속되고 있다. “미래에셋을 덮어씌우는 게 아니라 미래에셋대우를 창업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대우증권 출신을 포섭하겠다고 했던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의 말은 아직 이들에게 제대로 스며들지 못한 듯하다.
옛 대우증권 노조는 사측의 합병정책과 관련해 규탄성명을 내고 강경대응 가능성을 시사한 상황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래에셋대우(옛 대우증권)와 미래에셋증권의 합병정책이 '일방적'이라는 게 골자다. 여기에는 신 인사제도와 임금인상 문제, 옛 대우증권이 전통적으로 노사합의를 통해 이뤄온 다양한 제도들에 대한 폐지와 관련된 문제가 담겨있다.
노조는 사측이 작년 임금인상 분에 대해서 신 인사제도 도입을 전제로 수용하겠다는 비상식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비판했고, 영업직원 영업비용 지원제도(네트워크 비용), 사내 동호회 지원비 폐지 등의 재시행을 요구했다.
기존 오너의 절대적 영향력과 존재감 속에 노조가 없던 미래에셋증권과 달리 노조를 통해 적극적인 의사를 개진해 온 터라 대우증권 출신들은 이를 헤아리지 못한 사측의 행보에 정서적으로 폭발한 것이다. 아래에서 위로의 의사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갈등에 따른 상처가 곪아버린 것.
하지만 사측은 노조와 정반대 입장이다. 노조와 수개월에 걸쳐 신인사제도와 임금·단체협약을 포함하는 통합협상을 진행했고, 노조의 요구사항을 고려해 상당부분을 반영하고 합의점을 도출했기에 문제될 게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노조가 사전 협의 없이 신인사제도, 임금인상, 단체협약, 합병 위로금을 포함하는 패키지 타결을 주장해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입장이다. 네트워크 비용, 사내 동호회 지원비 등은 임금협상과 단체협약과 같은 노조 합의사항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외형적으로는 하나가 됐지만 내부적으로는 여전히 평행선을 그리며 이원화돼 있다는 게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단기간 전산통합을 이루려다 출범과 동시에 전산장애로 망신살이 뻗쳤듯 노사간 화합을 다지지 못한다면 규모만 커진 회사에 그칠 개연성이 높다. 조직문화가 다른 두 회사의 정서적 결합을 위한 소통창구를 통해 깊어진 갈등의 골을 치유하는 게 필요한 시점이다.
권준상 증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