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용훈기자] 앞으로 서울에 중·고교생들이 사회 각 분야의 주요 현안을 교사의 일방적 수업이 아닌 쌍방향 토론을 통해 배우게 된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각 학교에 ‘서울형 민주시민교육 논쟁수업’ 안내자료를 보급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형 민주시민교육 논쟁수업은 시교육청이 학생들이 민주시민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추진 중인 학교 민주시민교육 지원 계획의 일부다.
학생들은 토론수업을 통해 사회적 주요 쟁점에 관심을 높이고, 학교 밖에서도 국내외 주요 현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예를 들어 학교생활과 관련해서는 ''고교 평준화 정책'은 공평한 권리 보장인가 선택권의 침해인가', '학생용의복장규정은 학생의 개성 실현에 대한 권리를 침해하는가' 등에 대한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다.
정치·사회 분야에 있어서는 '청소년의 '정당가입'은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그 연령 기준은', ''고소득자 누진과세 확대'는 정당한 과세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원자력 발전소는 경제적인 전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가 안전을 위해 제한되어야 하는가' 등의 주제를 다루게 된다.
시교육청은 이 같은 교실 내 토론수업을 정착시키기 위해 지난해 ‘보이텔스바흐 합의 정신에 기반한 민주시민교육 정책 방안 연구’를 진행했고, 다양한 토론수업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질문이 있는 서울형 토론모형’을 시범 도입했다.
올해 2월에는 독일 프리드리히에버트 재단과 공동으로 독일 민주시민교육 전문가인 폴 케레스틴 굳텐베르그 하인츠 대학 정치교육학 교수를 초빙하기도 했다.
보이텔스바흐 합의란 보수와 진보의 갈등이 첨예했던 구 서독에서 1976년 당시 청소년이 사회적 다양성에 대해 이해하고, 주체적인 판단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보수·진보 양진영이 합의한 교육 원칙을 말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관내 보급되는 안내자료를 기반으로 각 학교에서는 교과별 관련 단원과 연계하거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해 학생 스스로 대화와 토론을 통해 상호 인정과 합의를 이끌어 내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토론수업이 학교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초·중등 교원 100명을 대상으로 교원직무연수를 운영하고, 다양한 논쟁수업 모델과 지도안을 개발해 서울형 민주시민교육 논쟁수업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오는 11월에는 학생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서울학생 사회참여 발표대회’를 개최한다.
지난해 10월 20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행복교육 박람회 자유학기제 수업콘서트관에서 학생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조용훈 기자 joyonghu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