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한영 기자]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압 당시 군 지휘부가 특전사 공수여단 뿐만 아니라 해병대 병력 투입도 고려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군의 광주민주화운동 진압이 육·해·공 3군 합동작전 차원에서 진행된 사실도 최초 확인됐다.
국방부 ‘5·18 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출격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7일 서울 용산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5개월 간의 조사활동을 담은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특조위는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해병대 1사단 3연대 33대대 병력이 광주 출동을 위해 마산에 대기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이들 병력은 계엄군의 진압작전 변경으로 추가 투입 실효성이 떨어지면서 출동이 해제됐다고 특조위는 설명했다.
해군 함정이 진압작전에 동원된 사실도 확인했다. 특조위가 확인한 2군 계엄사령부 계엄상황일지에 따르면 ‘소수의 폭도가 선박을 이용하여 목포항을 도강한다는 정보에 따라 해군 309편대가 긴급출항, 항만에 경비 중’이라는 내용이 기재됐다. 기무사령부 자료에 기재된 ‘사태수습 시 고려사항’에서는 ‘탈출구를 찾는 폭도들이 개별 탈출·재집결해 제2의 광주사태를 야기할 것이 우려된다는 상황판단 하에 해군·해경 합동 해상봉쇄작전으로 해상탈주를 방지하도록 지시하고 있다’는 내용이 들어있었다.
당시 계엄군이 헬기를 이용해 광주시민을 향해 무차별 기총소사를 가했다는 정황도 사실로 확인됐다. 특조위에 따르면 당시 육군은 광주에 출동한 40여대의 헬기 중 일부 공격헬기(500MD)와 기동헬기(UH-1H)를 이용해 1980년 5월21일과 27일 광주시민을 상대로 여러 차례 사격을 가했다.
수원 제10전투비행단과 사천 제3훈련비행단 소속 공군 전투기·훈련기들이 ‘이례적으로’ 공대지 폭탄을 장착한 채 대기했다는 내용도 나왔다. 다만 폭탄 장착 이유가 광주를 폭격하려는 계획에 따른 것인지 또는 광주폭격을 포함한 진압작전 계획으로 검토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특조위는 최종 결론을 유보했다.
1985년 국가안전기획부 주도로 설치된 ‘광주사태진상규명위원회’와 실무위원회, 국방부 주도로 1988년 조직된 ‘국회대책특별위원회’가 광주민주화운동과 관련된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일부를 왜곡했다는 조사결과도 발표했다.
특조위 관계자는 “국가와 계엄군이 저지른 잘못된 행위로 많은 시민들이 희생을 겪었고 지금까지 그 상처는 완전히 치유되지 못하고 있다”며 “국가와 군이 국민에게 진솔하게 사과하고 과거로부터의 절연을 선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23일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출격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 40일 조사경과 보고 기자회견에서 이건리 특조위원장이 관련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최한영 기자 visionchy@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