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답한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중소·요양병원 지원 시급"

"기본 역량조차 못 갖춘 곳 대부분…대형병원과 내성환자 주고받는 셈"

입력 : 2018-11-13 오후 3:24:48
[뉴스토마토 정기종 기자] 국가 차원의 항생제 내성 관리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유명무실한 국가 관리대책이 보완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3일 대한항균요법학회는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2018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올해로 두 번째를 맞은 항생제 내성 포럼은 보건의료를 비롯해 농··수산, 식품, 환경 분야의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세부과제 점검과 민··학이 함께 하는 정책제안을 하는 행사다.
 
이날 행사에는 김성민 대한항균요법학회장을 비롯해 각 분과 위원장인 배현주 한양대 감염내과 교수,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정석훈 연세대의대 세균내성연구소 교수 등이 참석해 보완정책에 대한 제안을 쏟아냈다.
 
국내의 경우 하루에 1000명당 34.8명이 항생제를 처방받고 있다. 이는 OECD 36개국 평균 21.1명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자, 세 번째로 높은 항생제 처방률 기록이다. 특히 지난 200215.9명에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보건 당국은 나날이 심각해지는 국내 항생제 오남용 대응 차원에서 지난 20165개년 계획의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오는 2020년까지 감기에 처방되는 항생제를 2015년 대비 50%, 전체 항생제 사용을 20% 줄인다는 목표다하지만 이를 위한 추진 과제들이 항생제 사용 억제 캠페인이나 의료인 교육 정도에 불과해 실질적 정책 지원은 없는 실정이다. 일부 항생제 처방률이 감소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유의미한 통계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배현주 교수는 "급성상기도감염(감기) 항생제 처방률의 경우 지난 200649.5%에서 35.6%로 줄었지만, 같은 기간 급성하기도감염은 21.7%에서 35.8%로 늘어났다""이는 실제 항생제 사용량이 줄어든 것이 아니라 의사들이 항생제 사용량이 공개되는 상병명만 회피한 것뿐"이라고 지적했다.
 
학회는 항생제 오남용을 막기 위해선 전문 인력을 활용한 민·관협의에 따른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료기관의 항생제 처방 실적 감소폭에 따른 인센티브제도와 항생제 관리 약사 등의 전문가 양성 등의 실질적 지원책은 물론, 현재 보건당국이 공개하지 않고 독점 중인 국내 항생제 처방 데이터를 민간과 공유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특히 내성균 관리에 취약한 중소·요양병원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엄중식 교수는 "그나마 일부 조정 능력을 가진 대형병원도 안전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소·요양병원은 기본적인 역량조차 갖추지 못한 데다 현황조차 정확히 파악 안된 상태"라며 "이는 중소·요양병원과 대형병원이 내성 환자를 주고받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중소·요양병원에서 감염돼 상태가 악화되면 대형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게 되는 만큼 중소병원의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의미 없는 대응책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의료적 분쟁을 비롯한 각종 사회비용 증가 등의 연쇄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마저 있다.
 
한편 영국의 경제학자 짐 오닐은 연구보고서를 통해 현 상황에서 마땅한 내성균 대책이 없을 경우오는 2050년 연간 1000만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인해 사망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같은 수치와 관련해 김성민 학회장은 "최근 글로벌 보건 이슈로 떠오른 미세먼지로 인한 2015년 조기 사망자는 425만명 수준이고, 지난 2차 세계대전 당시 연간 약 1000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통계가 있다""적극적이고 세부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다음 세대는 매일 전쟁을 치르는 것처럼 살아가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성민 대한항균요법학회장이 13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열린 '2018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 전문가 포럼'에서 국가 항생제 관리대책 보완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대한항균요법학회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정기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