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부터 서울 서초동과 광화문에서는 법무부 장관을 두고 대규모 집회가 열리고 있다. 각각 장소의 목소리를 요약하면 '검찰 개혁'과 '조국 반대'다. 하지만 이들 집회가 참가자 수를 따지는 계수(計數)의 대결로 비치면서 현장의 의견은 뒷전이 되지 않을지 우려가 된다. 이러한 세 대결은 정당 간 입맛에 맞는 정쟁의 도구가 되기도 했다.
정작 주목해야 할 것은 얼마나 많은 참가자가 왔느냐가 아니라 현장의 메시지가 무엇인가다. 왜 수많은 시민이 주말 또는 휴일에 자신의 시간을 들여서 집회에 참석했느냐다. 주최 측이 "피켓은 알아서 출력해 오라"면서 자발적 참여를 유도했든지, 상대를 향해 "당신들도 동원해 보라"면서 대놓고 동원력을 자랑했든지는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니란 생각이다.
검찰 개혁은 꾸준히 제기되는 국민적 요구다. 그 요구를 표출하는 집회의 참가자 수가 부풀려지더라도, 그것을 깎아내리더라도 꼭 이뤄내야 한다는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이제껏 왜 이뤄지지 못했는지, 앞으로 어떠한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등을 고민해야 한다.
반대로 검찰 개혁의 적임자로 임명된 장관을 반대하면서 사퇴를 요구하는 주장도 무시돼서는 안 된다. 논리도 없는 무조건적인 반대가 아닌 진정한 검찰 개혁을 이루기 위한 고언이라면 이를 받아들이고, 더 나은 대안을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한다.
다만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수치가 있다. 지난 개천절 광화문에서는 폭력으로 46명이 연행돼 2명에게 구속영장이 청구됐다고 한다. 지난 주말 서초동에서도 폭력으로 2명이 체포됐다고 한다. 이들의 신분이 무엇이라도, 어느 주장을 내세우더라도 폭력의 방식은 허용돼서는 안 된다. 폭력은 광화문에서도, 서초동에서도 각자가 원하는 '민주주의 수호'와는 멀어도 한참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주말 서초동에서 태극기와 성조기를 함께 들고 있는 이들의 욕설과 협박을 들었다. 이에 반응하지 않고 무시했다. 개천절 광화문에서는 세월호 유족에 대한 모욕도 있었다고 전해졌다. 이는 정상적인 집회 활동이 아닌 반인륜적이고, 야만적인 집단 행위에 불과하다. 과장을 의도한 표현이지만, 당시 광화문에는 2000만명이 모였다는 말도 나왔다. 아무리 많은 사람이 모였다 한들 상식에 어긋나고 정당성을 잃는다면 그 집회는 폭동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