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5세대(5G) 통신 상용화 19개월 만에 5G 가입자 500만명을 넘어섰다. 5G 단말과 장비는 각각 글로벌 시장에서 1위와 3위에 오르며 시장을 선도했다. 정부는 세제혜택과 제도개선 등을 통해 5G 시대를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5G+ 전략을 통해 서비스 고도화에도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일 "네트워크 장비·차세대 스마트폰 분야에서 상용화 첫해부터 목표를 조기 달성하고, 중소기업 동반성장, 해외 수출계약 체결, 5G 국제협력 등 5G 코리아(KOREA)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며 "상상이 현실이 되는 5G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5G+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5G 가입자는 상용화 10개월 만에 536만명을 기록하며 500만명을 돌파했다. 5G 기지국은 전국 85개시에서 약 10만9000국을 구축했다.
5G 단말·장비의 경우 삼성전자가 지난해 4월3일 세계 최초로 5G 스마트폰을 출시한 이후 듀얼스크린, 폴더블 스마트폰, 5G 태블릿 등을 출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43%로 1위를 기록했다. 5G 장비도 IHS마킷 기준 삼성전자가 지난해 23.33%를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화웨이, 에릭슨, 노키아 3강 구도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자료/과기정통부
5G 상용화로 통신사들의 망 투자 확대 등에 따라 중소 기업들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증가했다. 5G 기지국 장비 제조업체 A사는 꾸준한 5G 연구개발(R&D), 삼성전자, 노키아 등 글로벌 업체와 협력 등을 통해 다중입출력장치를 개발해 매출액이 2018년 대비 247% 증가한 7330억원, 영업이익 1613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광송수신기 제조업체 B사는 삼성전자, 화웨이, 에릭슨 등 글로벌 업체들에 5G 장비를 공급해 매출액은 2018년 대비 258% 증가한 2105억원, 영업이익은 294% 증가한 588억원으로 성과를 나타냈다.
독일 도이치텔레콤 등 통신기술 협력, 일본 KDDI, 캐나다 비디오트론, 미국 US셀룰러, 뉴질랜드 스파크 등에 장비 공급, 중국 차이나텔레콤, 홍콩텔레콤 등에 콘텐츠 공급 등 수출도 증가추세다.
정부는 올해 5G 고속 성장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세제혜택과 제도개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우선 5G 상용화 직후부터 추경으로 약 230억원을 편성하는 등 3400여억원을 투입해 5G 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했으며, 올해는 87% 증가한 65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국내 5G 단말기 제조기업이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국제인증을 획득해 단말기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인증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국제공인 인증시험 서비스를 제공한다. 5G 콘텐츠 플래그십 사업을 통해 실감콘텐츠 5대분야 선도과제 제작을 지원했으며, 초기기업 성장지원을 위한 펀드도 조성한다.
민간의 5G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2년간 5G 망 투자 세액공제를 추진 중이며, 올해부터는 세액공제율(수도권 지역)과 대상(비수도권 지역)을 확대한다. 수도권 투자 세액공제율을 당초 1%에서 2% 수준으로 확대했으며, 비수도권 투자 세액공제 대상에 공사비를 추가한다.
아울러 무인기지국 원격전원관리시스템에 대한 ICT 규제샌드박스를 지정해 기지국 유지관리비용 절감이 기대된다. 이는 지난해 5월 원격제어 3회 초과 자동복구누전차단기에 대한 안전기준, 설치·운영 기준 부재에 대해 자동복구 누전차단기의 차단 요인을 파악해 가동하는 조건으로 임시허가를 부여한 사례다.
전파자원 확충을 위해 2026년까지 5G 주파수를 약 2배 확대한다는 목표다.
과기정통부는 올해도 5G+ 전략을 기반으로 5G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세계 최초 5G 상용화 성과를 돌아보고, 올해 추진계획 점검을 위해 차주 5G+전략위원회를 개최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