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기종 기자] 요통 환자 중 허리를 숙이면 아픈 사람과 오히려 허리를 숙이면 통증이 줄어드는 사람이 있다. 일반적으론 나이가 들수록 허리를 숙였을 때 통증이 괜찮아져 지팡이나 보행기, 유모차 등에 의지해서 허리를 구부리게 된다. 척추협착증이 허리를 곧게 펴고 있으면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일시적으로 신경 통로를 넓혀줘 통증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척추협착증 환자의 50% 이상이 노화와 관련 있는 원인으로 주로 50~60대 이후에 많이 발병하고 있다.
허리에 통증이 나타나면 디스크를 떠올리기 쉽지만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로 나타나는 통증이라면 척추협착증과 척추전방전위증이 더 흔하다. 척추협착증은 척추에서 다리로 이어지는 신경이 들어있는 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병이며,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 뼈가 앞으로 밀려나가는 질환이다. 척추마디가 앞으로 밀려나가면 뒤에 있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의 배열도 맞지 않아 좁아지게 되는데, 이때 척추뼈가 밀려나가는 정도보다 훨씬 척추관이 좁아지게 된다. 퇴행성으로 전방전위증이 생겼을 때 후관절 주위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뼈와 인대가 매우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협착증과 전방전위증 환자들이 허리 디스크와 착각하게 되는 이유는 다리가 아픈 증상이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좀 더 주의를 기울이면 차이를 알 수 있다. 디스크는 다리로 가는 신경의 일부만 눌려 일부만 아픈 경우가 많은 반면, 협착증은 신경통로 자체가 좁아져 신경다발이 전체적으로 누르기 때문에 다리 전체가 아프다. 주로 디스크는 한쪽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협착증은 양쪽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척추협착증은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다리가 터질 듯 아파 가다가 쉬고, 가다가 쉬는 신경인성 파행 증상이 특징이다.
이런 통증이 생기면 우선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로 통증을 감소시키고 올바른 자세와 생활 습관 개선, 적절한 운동이 중요하다. 좁아진 척추관을 넓히는 수술은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고 비수술 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 걷기가 힘들어 지는 경우,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근력 약화나 마비나 배변 장애가 동반 되는 경우에 고려한다.
윤기성 목동힘찬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60대 이상 척추환자의 수술은 척추협착증에 의한 수술이 많은 편이지만, 척추관협착증은 대부분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로 증상이 완화되어 수술이 필요 없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라며 "질환 초기단계에는 통증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데 통증 양상에 따라 보존적 치료가 이뤄지면 통증 감소는 물론 자세 변화를 막을 수 있어 수술 없이 회복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허리에 통증이 나타났을 때 통증을 참기보다 적극적 치료로 통증을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척추관협착증 초기 단계에는 스트레칭, 자전거 타기와 같은 운동치료 만으로도 척추관이 더 이상 좁아지는 것을 막는 등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해 허리를 제대로 펴지 못하고 걷기가 힘들 정도라면 약물 요법, 물리치료 및 비수술 치료 등 병원에 내원하여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질환을 극복해야 한다. 통증을 감소시키고 운동을 통해 약화된 근육을 강화시키면 허리가 구부러지는 자세의 변화도 막을 수 있다. 치료를 통해 굽었던 허리가 펴진 경우에도 허리를 숙여 하는 작업을 많이 하고, 운동을 이어가지 않으면 허리가 다시 굽을 수 있어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중요하다.
척추협착증은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일시적으로 신경 통로를 넓혀줘 통증이 없어지는 탓에 허리를 구부리는 습관을 들이기 쉽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