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지각변동하는 미디어, 재정의가 필요하다

입력 : 2020-07-21 오전 6:00:00
김동현 중기IT부 기자
지난 17일로 예고됐던 CJ ENM 채널의 딜라이브 송출 중단(블랙아웃) 사태가 정부 중재로 가까스로 해소됐다. CJ ENM과 딜라이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재 하에서 방송채널 프로그램사용료에 대해 다음달 31일까지 합의하기로 했다.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과기정통부 중재안에 따르기로 결정했다. 프로그램사용료 인상 여부를 놓고 이어지던 두 회사의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나며 이목이 집중됐다. 
 
블랙아웃 사태는 올초에도 한차례 일어난 바 있다. 당시에는 CJ ENM과 LG유플러스의 채널계약 협상이 지지부진해, LG유플러스 인터넷(IP)TV에서 CJ ENM 계열 채널 송출 중단 위기가 발생했다. 두 회사는 블랙아웃 몇시간 전에 긴급 협상에 나서며 가까스로 합의에 이르렀다.
 
반복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콘텐츠 사업자와 플랫폼 사업자, 더 나아가 미디어 산업 전반에 대한 근본적 재정의가 필요한 때다. 유튜브, 넷플릭스를 필두로 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가 사랑을 받고, 포털 기반의 인터넷 플랫폼이 급성장하고 있다. 기존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 케이블TV, 위송방송 등의 위상은 떨어지고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영향력은 커진 상황이다. 플랫폼 사업자는 자체 제작 콘텐츠를 확충하며 맞서고, 콘텐츠 사업자는 자체 플랫폼을 신설하는 모습 등을 보이며 플랫폼과 콘텐츠의 경계가 사실상 희미해졌다.
 
이용자 보호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도 필요하다. 먼저 이번 블랙아웃 재발 방지를 위해 단순 중재를 넘어서 사전 예방책을 마련해야 한다. 앞선 2개 사례가 있지만, 협상을 완료하지 않은 사업자도 있어 비슷한 사례가 반복될 우려도 있다.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당국의 역할이 분쟁 조정과 같은 사후 조치에 집중된 상황에서 향후 미디어 시장 재편에 따른 다양한 위험을 해소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정부는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 들어서며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생태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규제 해소와 디지털 사업자 육성 등 글로벌 사업자 출현에 대응할 육성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한상혁 방통위 위원장 후보자는 20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급변하는 미디어 시장을 어떻게 재편할지, 여러차례 질문을 받았다. 그는 "현재 미디어 시장은 OTT를 비롯한 인터넷 기반 글로벌 미디어 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며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해 미디어 제도 전반의 개혁방안을 마련하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 산업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이해 당사자들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고려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한다.
 
김동현 중기IT부 기자(esc@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