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지난해 12월 시중에 풀린 돈이 전월보다 24조원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지원금과 수출호조로 인해 기업 결제자금이 유입된 요인이다. 특히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주식을 팔고 예적금으로 몰리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21년 12월 통화 및 유동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시중 통화량(계절조정·평잔)은 광의통화(M2) 기준 3613조원으로 전월 대비 23조8000억원(0.7%) 증가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규모다.
1년 전과 비교해서는 13.2% 증가하는 등 전월(12.9%)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또 상승폭은 지난 2008년 11월 14%를 기록한 이후 13년 1개월 만에 최대치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시장형상품 등 금융상품이 포함된 통화 지표를 뜻한다. 통상적으로 한은은 시중 통화량을 가늠할 때 M1보다 M2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시중 통화량은 지난해 4월 처음으로 3000조원을 돌파한 이후 가파른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매월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는 추세다.
작년 12월 통화량은 가계와 기업 모두 증가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 통화량은 1749조1000억원으로 전월보다 14조4000억원(0.8%) 늘었다. 가계 대출의 감소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주식 등 대체 자산 매도,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 등으로 올랐다.
기업 부문의 통화량은 1072조8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4조6000억원(1.4%) 늘며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연말 정부의 재정자금 집행, 양호한 수출 증가에 따른 기업 결제자금 유입이 영향을 미쳤다.
기타 금융기관의 통화량은 9000억원(0.2%) 늘어난 601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올린데 따른 것이다.
상품별로는 정기예적금이 20조5000억원 증가했다. 수신금리 상승, 예대율 관리를 위한 자금유치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또 금전신탁은 5조3000억원, 시장형상품은 4조5000억원씩 각각 늘었다. 반면 수시입출식은 5조7000억원 감소했고 MMF도 4조1000원 줄었다.
단기자금 지표인 M1은 1341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8조1000억원(-0.6%) 줄며 2018년 12월(-0.4%) 이후 3년 만에 감소 반전했다. M1은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해 높은 수익률을 따라 움직이기 쉬운 자금이다.
정진우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차장은 "고강도 대출 규제가 이어지며 주택 관련 대출 증가세는 둔화됐다"면서도 "기준금리 인상 흐름이 이어지자 위험자산 투자 자금이 예적금으로 몰리며 M2가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21년 12월 통화 및 유동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시중 통화량(계절조정·평잔)은 광의통화(M2) 기준 3613조원으로 전월 대비 23조8000억원(0.7%) 증가했다. 사진은 5만원권 지폐 모습. 사진/뉴시스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