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올해 상반기 폐기된 손상화폐의 규모가 1조1566억원에 달했다. 폐기된 물량을 낱장씩 위로 길게 이으면 에베레스트산의 6배, 우리나라 롯데월드타워 높이의 9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규모'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한은이 폐기한 손상화폐는 1억9166만장으로 액수로는 1조156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폐기 규모인 2억2310만장 대비 3144만장(14.1%) 감소한 수치다.
손상화폐란 한국은행으로 환수된 화폐 중 화폐 정사 과정을 거쳐 훼손·오염 등으로 통용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은행권과 주화의 합계다. 처리 단위는 '장'으로 통일한다.
폐기 물량을 낱장으로 길게 이으면 총 2만4765㎞ 길이로 경부고속도로(415㎞)를 약 30회 왕복한 수준에 해당한다. 또 총 높이는 5만3459m로 에베레스트산(8849㎞)의 6배, 롯데월드타워(555m) 높이의 9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폐기량은 1억6943만장으로 1조1541억원에 달했다. 권종별로는 1000원권이 6550만장으로 전체 폐기된 은행권의 38.7%를 차지했다. 이어 5000원권 860만장(5.1%), 5만원권 230만장(1.4%) 순으로 집계됐다.
주화 폐기량은 2223만장으로 25억원에 달했다. 10원짜리 동전이 950만장으로 전체의 42.9%를 차지했다. 또 100원화는 560만장(25.2%), 50원화는 370만장(16.5%), 500원화는 340만장(15.4%) 규모로 나타났다.
화재 등으로 은행권의 일부나 전부가 훼손돼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 남은 면적이 원래 크기의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액을 그대로 보상받을 수 있다. 또 5분의 2 이상에서 4분의 3 미만이면 반액으로 교환되며, 5분의 2 미만은 교환받을 수 없다.
손상되거나 기타 사유로 통용에 적합하지 않은 주화는 액면금액으로 교환된다. 다만 모양을 알아보기 어렵거나 진위를 판별하기 어려운 주화는 교환이 불가능하다.
화폐 교환은 한은 본부와 전국 지역본부에서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한은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권의 경우 비현금 지급수단 발달, 비대면 거래 확대, 연초 코로나19 확산세 심화 등에 따른 은행권 환수 부진 등 영향으로 손상 화폐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857만장 줄었다"고 말했다.
그는 "주화의 경우 전년 상반기 중 주화 환수량의 일시적 급증에 따른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4510만장 대비 2287만장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규모'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한은이 폐기한 손상화폐는 1억9166만장으로 액수로는 1조156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화재로 탄 은행권 모습. (사진=한국은행)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