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장기화 대비해야②)지역편차 커지는 '물 부족'…"물 저장그릇 세분화해야"

"기후위기로 특정 지역에만 비 집중…갈수록 심화"
"댐 등 거대 인프라 중심 저장 변화 필요"
"정부 차원 장기 물 저장 대안·절약 정책 중요"

입력 : 2022-12-05 오전 6:00:10
[뉴스토마토 김지영·용윤신 기자] 남부지방의 가뭄 사태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부상하면서 가뭄 대책을 위한 물 공급 정책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기후위기 심화로 인해 가뭄·홍수 같은 물 재난이 반복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역별 강수 편차를 고려한 수자원 관리 강화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물 관리를 대형 댐 등 큰 인프라에만 의존하기 보단 지역의 중·소규모 저수지의 강화 등 작은 수원의 물 저장, 물길 인프라를 늘려야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4일 <뉴스토마토>가 기후·환경 전문가를 대상으로 남부지방 가뭄 원인과 대책을 문의한 결과, 지역별로 기후 편차가 심해지는 만큼 소규모 수자원을 키워 각 지역에 맞게 적절한 물 공급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종필 광주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 "광주는 주암댐, 동복댐에서 주로 식수가 공급되는데 물의 저장상태에 '심각' 경보가 내려져 있는 상태"라며 "동복댐의 급수량이 30%에 그쳐 내년 3월부터 비상급수가 될 것 같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현재 최악의 경우를 대비할 정도"라고 말했다. 김 활동가는 "광주 같은 경우 1인당 물 사용량을 20%씩 줄이자는 것을 캠페인을 하고 있다"며 "이는 6월이 되면 장마가 되니까 비가 오지 않겠느냐는 계산 하에 진행하는 캠페인"이라고 말했다.
 
안중배 부산대 대기환경과학과 교수는 가뭄의 기상학적 원인에 대해 올 여름 장마전선을 지목했다. 그는 "올해 장마 기간 중부지방 쪽으로는 집중호우가 많이 내렸는데 남쪽으로는 장마전선이 내려가지 않았다"며 "북쪽에서 다소 건조한 찬 공기 세력이 남쪽까지 내려오지 않아 메마르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 교수는 "우리나라는 땅이 좁고 남쪽과 북쪽이 먼 거리도 아닌데 한쪽은 폭염이고 한쪽은 폭우인 극단적인 상황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는 지역적인 편차는 물론 2년 가뭄이었다가 2년은 폭우가 내리는 시간적인 편차도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동진 국토환경연구원 대표는 "예전에는 비가 전국에 걸쳐 많이 오는 양상이었는데 이번에는 중부지방에만 집중적으로 내리고 남부에는 거의 오지 않았다"며 "기후변화로 특정한 지역에만 비가 집중되는 지역별 편차가 심해지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권원태 한국기후변화학회 고문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토양에 수분이 굉장히 빠르게 증발하니까 똑같이 비가 적게 오더라도 가뭄이 더 심해질 수 있다"며 "앞으로 온도가 올라가면 그런 현상들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겠다"고 했다.
 
최 대표는 댐과 거대 저수지 같은 큰 인프라 중심이었던 물 관리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그동안 물 관리 정책이 큰 인프라를 중심으로 추진됐고 중·소규모 저수지나 지역의 작은 수자원들 관리는 부실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작은 수원들을 다 없애버리고 큰 댐에서만 가져갈 수 있도록 의존도를 높여 버리니까 특정 지역만 가뭄에 대한 대응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전남 같은 경우 섬진강 유역에서 물을 끌어오다 보니 큰 저수지가 말라버리면 현재 대안이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면서 큰 물그릇이나 댐을 만들던 정책은 이젠 맞지 않는다"며 "지역의 작은 자원들을 잘 활용하고 작은 저수지도 만들어 물길이 지역 곳곳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물 저장에 더해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 설계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종필 광주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 "개인 실천과 캠페인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은 한계가 있다"며 "변기에서 나오는 물을 줄이기 위해 패트병을 넣는 개인 실천이 아니라, 애초에 그렇게 작동하게 하는 KS인증 기준을 마련하는 게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4일 <뉴스토마토>가 기후·환경 전문가를 대상으로 남부지방 가뭄 원인과 대책을 문의한 결과, 지역별로 기후 편차가 심해지는 만큼 소규모 수자원을 키워 각 지역에 맞게 적절한 물 공급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사진은 전남 화순군 이서면 동복호 저수율이 30%대 초반까지 낮아지며 가장 자리가 드러나 있다. (사진=뉴시스)
 
김지영·용윤신 기자 wldud91422@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