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직격탄'에 20대 소비 충격 가장 컸다…고령층보다 '8배'

20대 연간 소비 감소 폭 29만9000원…60대의 '8.4배'
부채 보유 상위 50% 청년 중 저신용층 53만9000원↓
"주거 비용 안정 필요…채무 분할상환 기회 늘려야"

입력 : 2023-04-26 오후 12:00:00
 
 
[뉴스토마토 정해훈 기자] 지난 2021년 이후 이어져 온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의 소비가 8배 넘게 줄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청년층 중에서도 소득 수준이나 신용점수가 낮으면 감소 폭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청년층이 보유한 채무를 장기 상환할 수 있는 분할 기회 등 정책적 금융 지원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26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하면 대출 보유자의 연간 소비는 약 13만2000원(0.5%) 감소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 변동을 다각도로 분석하기 위해 2018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의 소득, 신용점수, 연령, 체크·신용카드, 주택 보유 여부 등 정보를 이용했습니다. 
 
또 거시경제 여건의 변화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 미친 영향과 DSR 변화가 차주의 소비에 미친 영향도 차례로 분석했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기준 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라 20대의 연간 소비 감소 폭은 약 29만9000원(1.3%)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60대 이상의 소비 감소 폭인 3만6000원(0.2%)의 8.4배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30대는 연간 약 20만4000원(0.8%)이 줄었습니다.
 
2021년 8월 이후 기준금리가 0.5%에서 3.5%로 총 8%포인트 인상된 것을 고려하면 20대는 89만6000원(3.96%)의 소비가 감소했습니다. 30대는 61만3000원(2.4%)이었습니다.
 
김미루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청년층의 경우 중장년층에 비해 소득도 작아서 자산 형성이 부족해 금리 인상의 충격 발생 시 자산 처분이나 추가 차입을 통한 대응이 어려웠음을 의미한다"며 "반면 60대 이상은 소득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자산이 많고 부채가 적어 소비 수준을 유지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26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하면 대출 보유자의 연간 소비는 약 13만2000원(0.5%) 감소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기준금리가 1%포인트 인상하면 부채 보유 상위 50%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26만4000원(1.1%) 감소했습니다. 반대로 부채를 보유하지 않은 청년의 연간 소비 감소 폭은 2만4000원(0.1%)에 불과했습니다. 
 
부채 보유 상위 50% 청년 가구 중 저소득층의 연간 소비 감소 폭은 약 27만9000원(1.2%)에 달했지만, 고소득층의 소비 감소 폭은 약 9만2000원(0.3%)에 그쳤습니다.
 
아울러 부채 보유 상위 50% 청년 중 신용점수 700점 이하인 저신용층은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라 연간 소비가 53만9000원(2.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 연구위원은 "생애주기 관점에서 보면 청년층의 경우 향후 소득이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현재 소득과 함께 미래 소득도 DSR 등의 대출 규제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며 "청년층 부채의 상당 부분이 주거 관련 부채인바 주거 관련 비용의 안정이 청년 부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청년층의 총대출 중 부동산 구매 금액, 전월세 보증금 등 주거 관련 대출 비중은 약 82.4~85.0%입니다. 이에 반해 중장년층의 총대출 중 주거 관련 대출 비중은 약 63.6~73.1%로 나타났습니다.
 
김 연구위원은 "한계 상황에 직면한 청년 차주에게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할 기회를 확대해 단기 상환 부담을 경감하고 장기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도록 보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근로기간이 길게 남은 청년의 특성을 고려하면 장기간에 걸쳐 채무를 상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돌려막기' 등으로 채무 구조가 급격히 악화할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26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하면 대출 보유자의 연간 소비는 약 13만2000원(0.5%) 감소했습니다. 사진은 주택담보대출 관련 안내문. (사진=뉴시스)
 
세종=정해훈 기자 ewigjung@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정해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