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백승은·임지윤 기자] # 연식이 오래된 수입차를 모는 직장인 이모(49) 씨는 국내에서 수입해 파는 부품이 터무니없이 비싸 해외직구로 눈을 돌렸습니다. 한 달 만에 해외 사이트를 통해 부품을 받아온 이 씨는 "국내 판매보다 적게는 50% 많게는 70%가량 싸다"며 "금을 두른 것도 아닌데 연식이 오래된 차의 부품이 너무 비싸다. 요즘 물가가 비싼 시기에 해외직구가 숨통을 트게 해 자주 이용한다"고 말했습니다
# 세종시에 거주하는 주부 김모(36) 씨는 주방용품을 해외직구로 구매하는 등 만족도가 높다고 얘기합니다. 김 씨는 "다이소에서 살 때도 있지만 다양한 상품군과 국내 가격보다 90%가까이 싼 물건도 넘쳐난다"며 "중국산이라고 하지만 품질도 그다지 떨어지지 않아 국내 쇼핑보단 해외직구로 눈을 돌렸다"고 전했습니다.
천정부지로 오르는 물가에 국내 소비자들이 해외 직접 구매로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 국내 생필품 값이 들썩이는 사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해외 상품 구매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겁니다.
특히 국내 기업이 코로나19 이후 상품 가격을 자주 올리며 물가 상승을 주도시켰다는 분석까지 나옵니다. 하지만 해외 직구로 인한 피해도 적지 않아 구제 장치에 대한 마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를 보면 생필품 가격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기업의 가격조정(인상·인하 빈도, 할인 등 일시조정 제외) 빈도를 조사한 결과, 2018~2021년 월평균 11.0%에서 2022~2023년 15.6%로 올랐습니다.
가격조정 빈도란 특정 기간 내 가격 조정 기회들 중 실제 기업이 가격을 올렸거나 내린 횟수의 비율을 뜻합니다.
빈도를 기간으로 환산했을 때, 2018~2021년 평균 상품가격 유지 기간은 9.1개월이었으나 2022~2023년 6.4개월로 줄었습니다. 기존에는 연 1.3회 정도 가격을 인상했다면,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이 연 2회 가량 올렸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는 사이 해외 직구 건수는 급증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통계청 집계를 보면 지난 2023년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6조7567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9% 급증했습니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를 시작한 후 첫 6조원 돌파입니다.
최근 몇 년간 해외 직구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했습니다. 지난 2019년 3조6360억원으로 3조원대에 머물렀던 해외 직구액은 2020년(4조677억원) 이후 2021년(5조1152억원) 처음으로 5조원을 달성한 후 2년 만에 다시 6조원 규모 시장을 시장을 형성한 것입니다.
지난해 11월 22일 인천 중구 인천세관 특송물류센터에 해외 직구 물품들이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이는 고물가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로 1년 전에 비해 3.1% 올랐습니다. 지난 1월 2%대로 내려앉았지만,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치솟았습니다.
해외직구는 급증했으나 내수는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통계청의 2023년 연간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재화의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비판매(불변지수)는 전년보다 1.4% 쪼그라들었습니다. 이는 2003년(-3.2%)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수준입니다.
다만, 해외직구가 늘어난 만큼, 소비자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소비자원 집계를 보면 연중 월평균 해외직구 온라인 물품구매 관련 소비자 불만 접수 건수는 800.8건에 달합니다. 불량 상품을 받거나 가품을 받는 경우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블랙프라이데이, 광군제 등 행사가 몰리는 연말에는 피해가 집중됐습니다. 이 기간 국제거래 소비자상담 건수는 2020년 11·12월 2584건에서 2022년 11·12월 3569건으로 2년 동안 38% 늘었습니다.
피해가 속출하자 정부도 부랴부랴 전방위 대책에 돌입했지만 실질적인 구제 효력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국무조정실,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관세청 등 범정부는 이달 초 '해외직구 종합대책 태스크포스(TF)'를 마련하고 해외 직구에 대한 물품 안전 관리 및 피해 구제 등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해외 직구 피해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서는 현행법을 손봐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해외 직구를 거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결국 정부 측에 현행 관세 제도를 손봐야 하는 등 중장기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정 교수는 "수입 시 KC 인증과 같은 소비자 인증 제도도 (장기적으로는) 필요하지만 당장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며 "중국 플랫폼을 중심으로 소비자 피해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소비자 민원센터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달 5일 한 대형마트가 생필품을 최저가 수준에 제공하는 '2024 가격파격 선언'을 실행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종=백승은 기자 100wins@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