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메타)이 자사 생성형 AI 모델 라마로 파생된 AI 모델이 6만 5000개 이상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마노하 팔루리 메타 생성형 AI 부사장은 10일 서울 강남구 센터필드 이스트 메타 오피스에서 열린 ‘메타의 AI 미디어 브리핑’에서 “2주전에 발표한 라마 3.2 모델을 포함해 총 4번의 배포를 통해 AI 커뮤니티에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면서 “현재까지 라마 모델은 4억회 이상 다운로드 되었으며 스타트업, 공공기관, 대기업에서 라마를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라마 모델 활용도가 높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초거대AI 모델을 연구하는 장광선 선임연구원은 라마에 과학기술정보에 특화된 데이터를 학습시켜 초거대언어모델(LLM) ‘고니’를 소개했습니다. 장광선 선임연구원은 “라마를 활용해 공학 박사 수준의 AI 모델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연내 고니를 활용한 논문 요약 서비스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상윤 에임인텔리전스 최고경영자(CEO)는 "라마를 쓸 수밖에 없는 이유는 평가 모델에서 챗GPT 사용으로 인한 정보 유출 걱정 안 해도 된다는 것이다"며 "다만 라마가 한국어 텍스트를 생성할 때는 다소 어색한 부분 있어 향후에는 한국에 특화된 문화, 사회적 문제에 잘 이해하는 모델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팔루리 부사장은 텍스트를 입력하면 동영상을 제작하는,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영상 생성형AI 모델 ‘무비젠’도 소개했는데요. 향후 무비젠을 활용해 딥페이크(이미지 합성 기술) 불법 콘텐트 생성과 같은 부작용 가능성 및 우려에 대해 그는 “AI가 콘텐츠를 생성할 때는 워터마크가 찍힌다”며 “AI가 어떤 부분을 생성했는지 식별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AI가 이미지를 생성도 하지만 생성된 이미지를 탐지하는데도 동일 기술이 사용되어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기술이라고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팔로리 부사장은 이날 특히 메타의 장기적인 목표가 책임감 있게 AI 모델을 오픈 소스로 공개해 모든 사람이 AI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라고 여러 차례 강조했습니다.
메타는 오픈AI, MS, 구글 등과 달리 오픈 소스 방식을 채택해 AI 기술을 개발, 제공해왔는데요. AI를 오픈 소스로 배포하는 까닭은 시장 선점 효과가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개방형은 오픈AI의 챗GPT나 앤스로픽의 클로드와 같은 폐쇄형 모델과 달리 누구나 무료로 소스 코드에 접근해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다 방대한 사용자에 대해 기술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일부 폐쇄형 모델에 대한 종속을 피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팔루리 부사장은 “개방형 인텔리전스를 모두에게 제공하는 것 그리고 스마트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AI를 제공하는 것이 라마의 미션이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마노하 팔루리 메타 생성형 AI 부사장이 10일 서울 강남구 센터필드 메타 오피스에서 '메타의 AI 미디어 브리핑'에서 라마 미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