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진양 기자]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로 원·달러 환율이 한 달 넘게 1400원대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고환율이 '뉴노멀'이 된 것인데요. 상당수 기업들 역시 올해의 사업 계획을 전면 수정해야 할 상황에 놓였습니다. 10곳 중 6곳이 1300원대의 환율에서 사업 계획을 세워 환율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불가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6일까지 국내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이 2025년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적용한 원·달러 환율은 1350~1400원 범위가 33.3%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29.6%의 기업들은 1300~1350원 범위에서 사업계획을 세웠습니다.
현재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로 환율을 예측하고 적용한 기업은 11.1%에 그쳤습니다. 1400~1450원 범위의 환율을 적용한 곳 역시 18.5%로 많지 않았습니다.
(자료=대한상공회의소)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로 1430원대까지 오른 뒤, 같은달 18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2025년 금리인하 횟수를 조정하겠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1450원을 돌파했습니다. 이후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표결 직후 1470원을 넘어섰고, 현재는 1450원대 전후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날도 오후 12시23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1456.40원을 기록 중입니다.
기업들은 환율 상승에 따른 어려움으로 △원자재 및 부품 조달 비용 증가 △해외투자 비용 증가 △수입결제시 환차손 발생 △외화차입 상환부담 증가 등을 순차로 꼽았습니다.
대한상의는 "전통적으로 환율상승은 수출가격이 하락하는 효과가 있어 수출 주도형 우리 경제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엔 해외 현지생산 비중이 증가하고 환헷지 달러화 결제가 늘어나면서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특히 우리 대기업들은 가격보다는 기술과 품질 경쟁이 치열한 상황인데 고품질 원자재 수입가격이 오르면서 영업이익에 되레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진단했습니다.
문제는 고환율 기조가 한동안은 이어질 것이란 점인데요. 응답기업의 44.4%도 현재의 환율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러면서 기업들은 현재의 환율 불안을 더 키울 수 있는 잠재적 요소(복수응답)로 '국내 정치적 불안정 지속'(85.2%)과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 본격개시'(74.1%)를 꼽았습니다. '미국 금리인하 지연 및 축소'(44.4%), '한국 국가신용평가 하락'(22.2%), '미국경제 강세 지속으로 인한 달러가치 상승 확대'(18.5%) 등도 지목됐습니다.
이에 기업들은 '기업에 대한 외환 유동성 지원 확대'(63.0%)와 '긴급시 외환시장 안정조치 시행'(63.0%)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수출입 기업에 대한 대출 및 보험 강화 등 금융지원 확대와 원자재 수급 안정화를 위한 비축 및 공동 구매 지원 등도 요청했습니다.
동시에 기업 스스로도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74.1%)으로 환율 불안에 대응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수입선 다변화 및 저가 대체공급처 발굴'(37.0%), '선물환, 통화스왑 등을 활용한 환헷지 비율 확대'(33.3%), '핵심부품 및 원자재의 국산화 추진'(22.2%) 등도 기업들이 할 수 있는 일들로 꼽혔습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지난 1997년 외환위기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며 충격이 컸지만 여진은 비교적 짧았다"면서 "반면 지금의 환율 불안은 경기침체가 누적돼 온 과정에서 국내외 리스크 충격이 겹친 상황이라 여파와 불확실성이 더 우려된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그는 "불안정한 환율 상승이 자본 유출, 대외신인도 하락 등 소위 '눈덩이 효과'로 확대되지 않도록 외환시장 안정화와 기업 유동성 지원 확대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이 기회에 한국 경제의 과감한 체질개선과 구조적 전환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김진양 기자 jinyangkim@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