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9년 6월30일 판문점 남측지역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을 했다고 보도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북·미 정상회담이 불발된 뒤 미국이 북한과 관련한 제재를 잇따라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 국무부에 이어 재무부는 사이버 범죄 수익 자금 세탁에 관련된 북한 국적자 8명과 북한 소재 기관 2곳을 제재 대상으로 추가 지정했습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4일(현지시간) "북한의 사이버 범죄 및 불법 IT 인력 운영, 자금세탁 활동에 관여한 북한 국적 개인 8명과 기관 2곳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밝혔습니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제재 대상이 된 북한 국적의 장국철과 허정선은 가상화폐 530만달러(약 77억원)를 포함한 자금을 관리해 왔고, 이 자금 중 일부는 과거 미국을 표적으로 삼은 전력이 있는 북한 랜섬웨어 조직과 연계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소재 IT 기업인 조선만경대컴퓨터기술회사와 회사 대표인 우영수도 제재 대상에 올랐습니다.
또 북한 소재 금융기관인 류정신용은행은 중국과 북한 간의 제재 회피 활동을 위한 금융 지원 활동을 한 것으로 파악돼 제재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허용철·한홍길·정성혁·최춘범·리진혁 등 중국이나 러시아에 기반을 둔 북한 금융기관 대표자들 역시 미국의 제재 대상인 북한의 금융기관을 대신해 자금과 송금 등에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존 K. 헐리 재무부 테러·금융정보담당 차관은 "북한 정권은 해킹과 IT 근로자 위장취업을 통해 핵무기 개발 자금을 마련하고 있고, 이러한 행위는 미국과 전 세계 안보를 직접적으로 위협한다"며 "미국은 이러한 불법 자금 조달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추적해 차단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이 무산된 뒤 잇따라 제재를 부과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앞서 미 국무부도 전날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위반 사유로 북한산 석탄과 철광석의 대중 수출에 관여한 제3국 선박 7척에 대한 유엔 제재 대상 지정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