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기자]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발효와 관련해 국내 중소기업의 업종별 영향이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한·중 FTA 발효 시 예상되는 업종별 영향 및 대책 실태조사를 한 결과 '유리할 것'이라고 응답한 업종은 고무제품과 플라스틱 제품, 화학물질과 화학제품, 목재와 나무제품(가구제외), 가죽가방·신발, 식료품 순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반면 금속가공제품(기계·가구제외), 1차 금속, 자동차와 트레일러 등 부품·소재업종을 중심으로는 '불리하다'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한·중 FTA가 발효될 경우 경영활동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로는 ▲한국 관세 철폐로 중국산 원자재·부품 수입단가 인하 ▲중국 관세 철폐로 중국시장에서 가격경쟁력 개선 ▲중국 내수시장 진출 기회 확대 ▲중국의 비관세장벽 개선 기대 순으로 나타났다.
경영활동에 불리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로는 ▲중국제품 수입증가로 시장점유율 하락 ▲중국제품과 가격경쟁에 따른 제품 가격 인하 ▲중국기업의 한국진출 확대에 따른 경쟁심화 등이 꼽혔다.
◇한·중 FTA가 발효될 경우 경영활동에 불리하다고 예상하는 이유. (자료=중소기업중앙회)
한·중 FTA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 대한 기업차원의 대비 방안으로는 품질 및 기술력 제고, 대체시장 개척(대체상품 개발) 순으로 조사됐으며, 수출입 없는 기업은 대비 방안이 없다는 응답도 26.1%나 돼 이들 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업종별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한·중 FTA 발효 이후 가장 필요한 중국 내수시장 진출 지원 제도로는 중국통관애로해소, 중국내 우리기업 산업재산권 보호 등이 제시됐으며,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제도로는 무역조정지원제도, 국내 환경과 규격인증 강화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한·중 FTA 체결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취약 업종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정부 차원의 선제적인 경쟁력 강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업계에서도 한·중 FTA를 글로벌화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