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스푸트니크

입력 : 2017-09-28 오전 6:00:00
“스미레는 마음속으로 뮤를 ‘스푸트니크의 연인’으로 부르게 되었다. 스미레는 그 말의 메아리를 사랑했다. 그것은 그녀에게 라이카 견(犬)을 연상시켰다. 우주의 어둠을 소리 없이 가로지르는 인공위성. 작은 창문을 통해서 들여다보이는 한 쌍의 요염한 검은 눈동자. 그 끝없는 우주적 고독 안에서 개는 대체 무엇을 보고 있었을까?”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스푸트니크의 연인’의 한 대목이다. 스미레는 ‘스푸트니크(여행의 동반자라는 뜻의 러시아어)’라는 단어가 들어간 말의 메아리를 사랑한다고 했다. 지금으로부터 60년 전 미국인들에게 그 단어는 사랑과 거리가 멀었다. 공포였다. 1957년 10월 4일 구소련이 만든 농구공 크기의 인공 구조물이 우주로 날아올랐다.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였다. 미국은 충격에 빠졌다. 그 충격이 너무 커서 인공위성 발사 계획에 시큰둥했던 흐루쇼프조차 미국의 반응에 놀랄 정도였다.
 
의기양양한 흐루쇼프는 과학자들에게 볼셰비키 혁명 기념일(11월 7일) 이전에 또 한 번 발사할 수 있는지 물었다. 흐루쇼프는 과학자들로부터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답을 듣게 된다. “물론입니다. 이번에는 생명체도 보낼 수 있습니다.”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지 꼭 한 달 만에 2호가 발사된다. 더구나 이번에는 삐삐~ 신호만 울리는 83kg의 쇳덩어리가 아니었다.
 
508kg으로 늘어난 위성에는 한 마리의 개가 탑승했다. 개의 이름이 바로 라이카였다. 라이카는 최초로 우주에 올라간 생명체다. 하루키 소설의 한 대목에서처럼 그 개가 무엇을 보았는지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우주로 올라간 지 몇 시간 만에 죽었다는 사실이다(러시아는 복귀 계획이 틀어져서 생긴 사고라고 했지만, 훗날 거짓말로 드러났다. 그런 계획은 없었다).
 
미국과 서방 세계의 충격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다. 충격은 두려움으로 바뀌었다. 소련도 이미 수소폭탄까지 개발한 상태였다. 스푸트니크 대신 핵탄두를 탑재하면 곧바로 대륙 간 탄도미사일(ICBM)이 된다. 당시 미국인은 스푸트니크가 핵무기를 실어 보낼 표적을 찾아 미국 구석구석을 탐색하고 있다고 믿었다. 올해 초 개봉한 영화 <히든 피겨스>에서는 이런 미국인의 공포를 잘 보여준다. 도로에서 차를 검문하던 경찰은 하늘을 보고 한탄하듯 말한다. “저놈들이(소련) 항상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는 거지?”
 
충격은 두려움으로, 두려움은 분노로 바뀐다. 그동안 정부는 뭐 하고 있었느냐는 비난이 쏟아졌다. “우리가 어쩌다 2등이 된 거냐”라는 분노가 터져 나왔다. 의회는 국방 예산, 특히 우주개발 예산을 늘려야 한다고 정부를 압박했다. 이후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당시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소련의 상황을 잘 알고 있었다고 한다. 소련이 핵탄두를 실은 미사일을 쏠 생각도, 아직은 그럴 능력도, 전쟁을 일으킬 계획도 없다는 사실을 말이다. 우주여행에서는 한발 뒤졌지만, 당시 미국은 정찰기로 소련의 구석구석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미국과 북한의 ‘말 폭탄’으로 한반도 긴장이 어느 때보다 높다. 그래도 우리는 아침에 일어나 지하벙커로 들어가지 않고 회사로 출근한다. 그것이 통제 가능한 수준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서로를 잘 알고 있다’라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심각한 문제는 그들이 왜 그런 ‘말 폭탄’을 주고받는지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는 우리의 태도다. 당장 전쟁이라도 날 것처럼 위기를 부추기고, 핵전쟁이라도 날 것처럼 공포를 조장하는 호들갑이다. 그들을 말리지(평화를 구걸하지) 말라며 전술핵무기를 구걸하러 다니는 사람들도 있다. 말로만 하지 말고 정말로 싸우라고 부추기자는 건가? 전쟁하자는 건가?
 
10월 4일이 스푸트니크 1호 발사 60주년이다. 스푸트니크 쇼크에서 우리가 눈여겨볼 대목은 경쟁에서 뒤진 자의 공포가 아니라 무지가 빚어낸 근거 없는 두려움이다. 하루키는 어쩌면 스푸트니크에서 인간의 공포와 고독을 발견했는지도 모른다. 마침 추석 연휴니 하루키의 소설로 스푸트니크의 교훈을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우리는 멋진 여행의 동반자이지만 결국 각자의 궤도를 그리는 고독한 금속 덩어리에 지나지 않죠. (…)두 개의 위성이 그려 내는 궤도가 우연히 겹쳐질 때 우리는 이렇게 얼굴을 마주 볼 수 있죠. 하지만 그건 잠깐, 다음 순간에는 다시 절대적인 고독의 틀 안에 갇히게 되는 거예요. 언젠가 완전히 연소되어 제로가 될 때까지 말이에요(‘스푸트니크의 연인’ 중에서).”
 
김형석 <과학 칼럼니스트·SCOOP 대표>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이해곤 기자
이해곤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