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우연과 필연

입력 : 2017-10-31 오전 6:00:00
문제는 잡음이었다. 1965년 벨연구소의 펜지어스와 윌슨은 대형 통신 안테나 활용법을 연구하고 있었다. 이유를 알 수 없는 잡음이 그들을 괴롭혔다. 온갖 노력을 기울였으나 잡음을 제거하지도, 출처를 찾지도 못했다. 어느 날 두 젊은이는 인근 프린스턴 대학의 로버트 디키에게 전화를 걸었다. 자신들을 괴롭히는 문제를 설명하고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는지 물었다. 설명을 들은 디키는 두 젊은이가 무엇을 발견했는지 단박에 눈치 챘다.
 
그들이 그토록 없애고 싶었던 잡음은 자신들이 그토록 찾고 싶었던 신호였다. 그것은 우주 배경 복사였다. 137억 년 전 대폭발에 의해 우주가 만들어질 때 방출되었던 빛이다. 우주 배경 복사는 오랜 시간(거리)을 여행하며 마이크로파 형태로 관측된다. 펜지어스와 윌슨은 약 15조km의 100억 배 떨어진 곳에서 날아온 빛, 다시 말해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빛을 ‘본’ 것이다. 그들은 197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다윈의 아버지는 아들이 의사나 신학자가 되기를 소망했다. 어느 날 다윈이 비글호에 승선하겠다고 하자 아버지는 반대했다. 당시 배를 탄다는 것은 곧 목숨을 거는 일이었다. 식물학자였던 헨슬로의 권고와 외삼촌 웨지우드의 설득이 없었다면 배에 오르지 못했을 것이다. <종의 기원>도, 진화론도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다윈은 비글호를 타고 남아메리카와 호주 대륙, 남태평양의 여러 섬을 항해했다. 그는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인류와 생명의 진화를 목격했다. 당시 다윈의 나이 23세였다.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다나카 고이치는 2002년 10월 사무실에서 한 통의 전화를 받는다.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회사 전화기가 일제히 울리기 시작했다.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그를 찾는 전화였다. 다나카는 지방에 있는 작은 회사에서 화학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는 이런저런 용액을 섞는 실험을 하다가 우연히 단백질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과학계는 세기의 발견이라고 흥분했지만, 정작 다나카는 담담하게 말했다. “모든 결과는 우연이었습니다.”
 
‘우연히’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와 KBO리그 한국시리즈가 같은 기간 치러지고 있다. 채널을 돌려가며 와일드카드부터 준플레이오프(디비전 시리즈), 플레이오프(챔피언십 시리즈)까지 거의 한 경기도 빼놓지 않고 보는 중이다. 야구를 보면 늘 의문이 든다. 내내 부진을 겪던 선수가 9회 말 동점 홈런을 친 것은 필연의 결과일까, 우연의 결과일까?
 
우연의 반복처럼 보이지만, 야구는 사실 과학에 더 가깝다. 야구공 하나에도 물리 법칙이 숨어 있다. 실밥 108개는 다양한 변화구를 가능하게 한다. 투수는 실밥을 이용해 공의 한쪽에 회전력을 가한다. 그러면 다른 한쪽은 공기의 저항을 받아 압력이 높아지고 반대쪽은 낮아져 공이 휘게 된다. 이른바 ‘마그누스 효과’. 실밥이 만들어내는 이 물리학 법칙을 이용해 투수는 직구 외에 커브, 슬라이더, 싱커, 체인지업, 너클볼 등을 던진다.
 
마침 ‘촛불집회 1주년’이었다. 속속 드러나는 이전 정권의 헌법 파괴와 불법 행위, 여전히 반성할 줄 모르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지지자들의 태도와 저항, 틈만 나면 억지와 생떼로 시계를 되돌리려는 적폐들의 방해, ‘중도’로 포장하고 오직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 사사건건 개혁의 발목을 잡는 일부 정치인. 현재의 이런 모습과 1년 전 촛불집회가 오버랩 되다 보면 모든 순간이 기적처럼 느껴진다. 그런 일을 해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는다. 도대체 1년 전 우리에게 무슨 일이 있었단 말인가.
 
모든 것은 우연에서 시작되었다. 안테나를 연구하던 사람이 137억 년 전 우주가 탄생하던 순간의 빛(소리)을 발견한 것도, 의사나 신학자가 될 뻔했던 사람이 배를 타는 바람에 진화론을 발견한 것도, 부진에 빠졌던 선수가 9회 말 160km의 강속구를 받아쳐 홈런을 친 것도 모두 우연이었으리라. 연인원 1700만 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하나의 구호를 외친 역사적 사건을 어찌 필연으로만 해석할 수 있겠는가.
 
모든 것이 우연으로만 완성되지 않는다. 우연이 반드시 벌어지는 조건, 그것을 필연이라 부른다. 과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앞으로 우리가 조우하게 될 우연(혹은 기적)은 많이 남았다. 우연이 반드시 벌어지게 되는 필연적 조건이 숙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자꾸 “다스는 누구 거냐”라고 묻는 것도 그런 조짐의 하나다. 단죄는 필연이자 과학의 영역이라고 믿는다.
 
김형석 <과학 칼럼니스트·SCOOP 대표>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이해곤 기자
이해곤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