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 사진/서울시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광화문광장의 규모가 3.7배로 확장되고 세종문화회관 앞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된다. 해치광장 등 세 곳으로 단절돼 있던 지하공간이 하나로 통합된다.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인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을 21일 발표하고 2021년 새로운 광화문을 향한 첫걸음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당선작은 70:1의 경쟁률을 뚫은 <Deep Surface(과거와 미래를 깨우다)>(CA조경, 김영민(서울시립대 조경학과), ㈜유신, ㈜선인터라인 건축)다. 심사는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도미니크 페로(프랑스), 아드리안 구즈(네덜란드) 등 전문가 7명이 맡았다.
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기본 방향을 △광화문의 600년 ‘역사성’ △3.1운동부터 촛불민주제까지 광장민주주의를 지탱해 온 ‘시민성’ △지상·지하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보행성’ 회복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광장과 주변 도시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큰 그림이다. 당선작은 ①주작대로(육조거리) 복원을 통한 국가상징축(북악산~광화문광장~숭례문~용산~한강) 완성 ②지상·지하광장 입체적 연결을 통해 시민이 주인인 다층적 기억의 공간을 형성 ③자연과 도시를 아우르는 한국적 경관의 재구성(북악산~경복궁~광화문)을 구현하고자 했다.
공간구상은 지상은 ‘비움’ 지하는 ‘채움’이다. 경복궁 전면의 '역사광장'(약 3만6천㎡)과 역사광장 남측으로는 '시민광장'(약 2만4천㎡)이 조성된다. 지상광장은 질서 없는 구조물과 배치를 정리해 경복궁과 그 뒤 북악산의 원경을 광장 어디서든 막힘없이 볼 수 있고, 다양한 대형 이벤트가 열릴 수 있도록 비움의 공간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세종대왕상과 이순신장군상을 세종문화회관 옆과 옛 삼군부 터(정부종합청사 앞)로 각각 이전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 사진/서울시
지하광장은 콘서트, 전시회 같은 문화 이벤트가 연중 열리는 휴식, 문화, 교육, 체험 공간으로 채워진다. 지상광장 바닥에는 종묘마당의 박석포장과 촛불시민혁명의 이미지를 재해석한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원형 패턴을 적용한다. 일부 바닥표면에는 조명을 설치해 독특한 야간경관을 연출한다. 시는 일제강점기 때 훼손됐던 월대(月臺, 궁전 건물 앞에 놓는 넓은 단) 상부 도로 이설을 위한 도시계획 절차를 연내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월대 발굴조사가 착수될 수 있도록 문화재청과 적극 협조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이순신·세종대왕상 이전 문제는 시민 의견을 들어 결정할 예정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그 부분은 워낙 시민들의 관심이고 온 국민 관심사이기 때문에 설계자 당선자의 의견대로 될 일도 아니고, 심사위원들이 논의한 것도 전적으로 결정됐다 말하기 어렵다. 연말까지 그 기간 동안 공론과정 거쳐서 충분히 시민의견 함께 존중된 상황에서 최종 결정하는 게 좋겠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에는 서울시와 정부 예산 총 104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서울시는 669억원, 문화재청은 371억 원을 분담하게 된다. 서울시는 설계를 구체화해 나가는 과정에서 주민설명회, 공청회 등을 통해 지역주민이 우려하는 사항을 직접 듣고 주민관점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아울러 사업의 취지와 효과도 함께 공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기존 왕복 10차선인 세종대로는 6차선으로 줄어든다. 서울시는 순차적인 진행과 함께 우회도로 정비를 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수도권 서북부와 동남부를 고속으로 연결하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파주 운정~서울~화성 동탄)의 ‘광화문 복합역사’ 신설도 함께 추진한다.
박 시장은 “2021년이면 서울에도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 파리의 개선문 광장 같은 대한민국 국가 상징광장이 시민 품으로 돌아온다"며 "다양한 주체가 조성 과정에 참여하는 모두의 광장으로,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세계인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 사진/서울시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