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1인가구의 급속한 증가는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사회 정책적 개입 역시 연령에 따라 맞춤형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990년 전체 가구 가운데 4.8%에 불과했던 1인가구는 지난해 29.1%로 증가했으며, 2030년에는 40%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노인 1인 가구 증가 역시 빠르게 이뤄지고 있으며, 서울의 1인가구 증가는 한국 전체 1인 가구 증가보다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1인가구 문제는 빈곤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이들의 평균 소득은 1935만3000원으로, 64.5%가 빈곤가구에 속한다. 성별로는 남성 35~44세 가구주를 제외하고 남성 1인가구의 빈곤율을 전국 빈곤율보다 높고, 40대 후반부터 빈곤율은 40%를 넘는다. 여성1인 가구는 20대부터 높은 빈곤율을 보이고, 40대 후반 이후에는 빈곤율이 49%가 넘어 절반 가까이가 빈곤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신광영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17일 서울 중구 서울시 의원회관 제1대회의실에서 열린 '서울시 1인가구 정책 세미나'에서 '생애주기별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년과 중년 1인가구의 경우 주거와 일자리 문제가 빈곤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1인가구의 성별, 생애주기별, 지역 특성이 반영된 관점에서 1인가구 삶의 질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정책적 수단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것이다. 변미리 서울연구원 미래연구센터장은 "중고령자 1인가구는 지역 중심의 연결망을 통한 지원서비스 정책이 필요한데, 지역의 동질성을 파악한 뒤 이에 기반한 관계망 구축을 위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고령 1인가구는 하루하루의 일상이 개선될 수 있는 시도를 지속해서 하고, 그들이 맞이할 죽음에 대해 준비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1인가구 특화 프로그램 개발 시 자치구별 성별이나 연령, 특성을 반영하되 보편적인 공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30대 미혼과 40~50대 미혼 기혼을 대상으로 생활역량강화 프로그램 모델을, 20-30대 미혼과 40~50대 미혼·기혼을 대상으로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 모델을 설계하는 식이다.
소득 계층 요인에 따른 정책적 수요 차이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유경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는 " 1인가구 정책 중 주거정책과 현금성 지원 등에 대한 정책대상과 내용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개인 저축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1인가구 주택을 확대하는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17일 서울 중구 서울시 의원회관 제1대회의실에서 열린 '서울시 1인가구 정책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사진/홍연 기자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