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권익도 기자]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대중음악 관련 행사가 잇달아 연기·취소되면서 중소 음악 레이블 피해가 막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달 간 국내 대중음악계 공연 피해액은 약 6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6일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에 코로나 19가 확산세를 보인 2월1일부터 4월30일까지 전국적으로 대중음악계에 211개 공연이 연기·취소돼 손해액만 약 633억2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회원사인 44개 중소 레이블, 유통사만 따지면 행사 중 73개가 연기·취소돼 손해액은 약 62억7000만원에 달했다. 특히 인디 뮤지션이 많이 활동하는 홍대 근처 소규모 공연장 공연에 대해 별도로 집계한 결과, 같은 기간 공연 117개가 연기·취소돼 약 9억5000만 원의 손해가 발생했다.
협회가 공개한 손해액은 전체 티켓 중 80%가 판매됐다고 가정한 뒤, 관람 인원에 티켓 가격을 곱해 나온 값이다. 공연장 대관과 무대 장비 업체 등에 지불한 각종 계약금 및 환불 수수료 등의 금액까지 더하면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협회는 이날 공식 성명서를 발표하고 "운영 규모가 작고 현금 유동성이 부족해 대형 기획사보다 체감하는 타격이 훨씬 크고 앞으로도 손해액을 메꾸기가 어려운 실정"이라며 "공연 진행 가능 여부, 공연장 대관료 및 아티스트 출연료 환불 규정, 소비자 환불 규정, 방역지침 등에 대한 매뉴얼이 없다 보니 각 기관에 문의했음에도 아무런 대책을 마련해주지 않아 피해가 가중됐다"고 토로했다.
"일정 규모 이상의 공연 진행을 위해 재해대책신고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기관에서는 매뉴얼이 없다는 이유로 이를 차일피일 미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현업 전문인력으로 분과별 TF를 구성해 문제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협회는 정부에 고용 유지 및 창출에 필요한 다각도의 지원 정책, 대관료와 임대료 등 공간 지원, 콘텐츠 제작 위주의 지원 정책, 위기상황 대비 펀드 구성 등을 요청했다.
협회는 "프리랜서로 활동 중인 스태프들은 현재 수입이 중단된 상태며, 언제 정상업무가 가능할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안정된 고용이 창출되도록 근로자와 업체에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현재 공연장뿐 아니라 뮤지션, 제작·기획사 및 시스템 업체들은 수개월째 수익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맞춰 새로운 공연을 기획하여 공연장과 외부 시스템 업체가 협업 및 제작하면 제작비를 지원해주는 형태의 지원 정책 또한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로고. 사진/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권익도 기자 ikdokw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