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친환경 에너지 기업"…대전환 꿈꾸는 포스코·두산

배터리 소재 투자 늘리는 포스코
'경영난' 두산 가스터빈·수소로 재도약

입력 : 2021-01-22 오전 3:22:17
[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로 기존 사업이 정체 국면에 빠지면서 중공업 기업 포스코와 두산이 새 먹거리 찾기에 한창이다. 두 기업 모두 배터리, 수소, 가스터빈 등 친환경 에너지를 미래로 낙점한 가운데 올해는 사업 전환을 위한 원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21일 포스코에 따르면 회사는 계열사 포스코케미칼 유상증자에 참여해 6881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포스코케미칼은 투자금 마련을 위해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1조2735억원 유상증자 청약을 한 바 있다. 이번 유상증자 규모는 포스코 창사 이후 최대 규모다.
 
포스코케미칼은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중 양·음극재를 생산하는 업체다.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 중 6900억원은 양극재 광양공장 시설 투자에, 1500억원은 유럽 양극재 생산공장 건설에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의 친환경 에너지 투자는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배터리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을 안정적으로 수급하기 위해 탄자니아 마헨지 흑연 광산에 약 82억원을 투자했으며 이에 앞서 2018년에는 또 다른 원료인 리튬을 확보하기 위해 아르헨티나 소금호수를 약 3000억원에 매입했다. 이 호수의 리튬 매장량은 1350만톤(t)으로 전기차 약 3억700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는 포스코가 매입 당시 추산한 양인 220만t보다 약 6배 많은 양이기도 하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지난달 이 소식을 알리며 "포스코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리튬·니켈·흑연 등 원료부터 양극재·음극재 이차전지 소재를 일괄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며 "이차전지 소재 사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케미칼 광양 양극재 공장. 사진/포스코케미칼
 
지난해 경영난을 겪으며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솔루스 등을 매각한 두산그룹 역시 올해 가스터빈, 해상풍력, 수소연료전지 등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의 가장 주력은 석탄화력발전을 대체할 수 있는 가스터빈이다. 이는 압축된 공기와 연료를 연소해 발생한 고온가스를 터빈을 회전시키는 기기다.
 
현재 미국, 독일, 일본, 이탈리에 4개사가 이 분야를 과점하고 있는데 두산은 2019년 기술 개발에 성공하며 이 분야 5번째 기업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다만 아직 상용화 단계까진 가지 못한 상태로 2023년부터 본격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상풍력 역시 아직은 그룹 내 매출 비중의 1%가 채 되지 않는 수준이지만 2025년부터 사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를 것이란 전망이다.
 
수소 연료전지의 경우 최근 한국을 포함해 유럽, 일본 등 전세계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겠다고 밝히면서 두산이 주력하는 사업이다. 계열사인 두산퓨얼셀을 이 사업을 하고 있으며 2023년 매출 1조500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사진/한국서부발전
 
이처럼 포스코와 두산이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뛰어든 건 주력 사업이 사양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포스코 주력인 철강 산업의 경우 최근 제품 가격 상승으로 다시 회복세를 타고는 있지만 과거 호황이었을 때의 수익으로 돌아가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실제 2010년 15.1%에 달했던 포스코의 영업이익률은 이후 한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두산그룹도 기존 석탄발전과 원전 산업이 어려워지면서 새 먹거리 없인 생존이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경영난 또한 바뀌는 세계 트렌드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결과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든이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청정에너지로의 대전환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중공업 기업들의 올해 신사업 투자 규모도 더욱 커질 것"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wldud91422@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