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중국이 민관 합작으로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에 대한 투자와 사업화를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해당 전략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중국의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와 그 가능성’ 산업동향 자료를 29일 발표했다. 한자연에 따르면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는 잔존용량이 감소한 구동 배터리 팩을 탈거하고 이미 충전된 다른 배터리 팩을 장착해 수 분 이내에 충분한 주행가능거리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르노, 테슬라 및 이스라엘의 ‘Betterplace’ 등이 유사한 모델을 시도했지만 본격적인 사업화에는 실패했다. 현재는 중국 Nio, SAIC 등 주요 중국 완성차 기업이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지난해 3월 국가 차원의 충전 인프라 투자를 천명했고 5월에는 국무원 업무보고에서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 권장 방침을 제시하면서 해당 사업을 지지하고 있다.
중국 Nio의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모습. 자료/한자연
이호중 한자연 연구전략본부 책임연구원은 “이 사업 모델은 주행거리 문제 외에도 전기차 초기비용 부담을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면서 “소비자는 전기차 원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를 제외한 가격으로 차량을 구매하고, 배터리 교환 서비스 기업으로부터 배터리를 구독하는 방식으로 전기차 운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장점을 상쇄할 정도로 기술적·경제적·문화적인 장애요소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배터리 팩의 인터페이스의 표준화가 필요해 기술개발에서 제약이 발생하며, 소비자와 기업 모두가 만족할만한 서비스 가격 수준을 지속하기 어렵다”면서 “자동차의 완전한 소유에 익숙한 소비자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충전소와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혼용해 전기차 대중화를 보다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이 해당 전략을 시도하는 배경과 전략을 눈여겨볼 가치가 있다”면서 “특히 일부 개발도상국 등은 전력공급이 불안정해 소비자가 직접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식보다 필요 시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식이 합리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