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효선 기자] 민족문제연구소가 ‘재일조선인단체사전 1895∼1945’(이하 ‘사전’)을 펴냈다.
민족문제연구소가 중점사업으로 추진하는 ‘일제시기 사전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2004년 ‘일제협력단체사전-국내중앙편’ △2009년 ‘친일인명사전’ △2017년 ‘일제식민통치기구사전-통감부·조선총독부 편’에 이은 네 번째 사전이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이번 사전에 일제시기 일본에서 발족한 재일조선인 단체 551개의 연혁과 활동을 수록했다고 1일 밝혔다.
독립운동 계열 단체부터 일제 관제조직 또는 어용단체였던 각종 융화·친일 단체, 협화회·협조회 등 친일 성향 단체까지 수록돼 있다. 설립 목적은 정치·사회·경제·문화·종교·사상·교육·노동·친목·상조 단체로 구분되며, 실행 주체에 따라 청년·학생, 노동자, 실업자, 임차인 단체 등으로 분류된다.
다양한 단체를 수록한 만큼 사전에는 다양한 인물 군상이 등장한다. △애국지사들이 일군을 이루며 △민족운동을 표방한 비밀결사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아나키즘 지향 단체 △노동운동 단체 △친목 또는 상조 단체들이나 그 구성원들도 조국 독립을 향한 염원은 같았다는 게 민족문제연구소 설명이다.
민족문제연구소에 따르면 이들은 4대 민족투쟁이라 할 수 있는 3·1운동 기념 투쟁, 메이데이 투쟁, 국치일 투쟁, 간토대지진 추도 투쟁에 참가해 주의와 노선을 가리지 않고 단결했다. 상애회의 박춘금과 같이 자발적으로 일제에 협력해 반민족행위를 저지른 조선인들도 존재했다.
그러나 엄혹했던 전시체제기에도 대다수 재일조선인들은 독립에 대한 확신을 버리지 않았고 투쟁을 포기하지 않았다. “일제가 그렇게 쉽게 패망하리라고 믿지 않았다”는 친일파들의 신념과 대조적이다. 국내의 대다수 조선인들이 “해방은 도둑처럼 찾아왔다”고 기억하는 것과 달리 재일조선인들은 일제의 패망을 예견했다고 한다.
또한 ‘사전’에 나오는 인물 중에는 조선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한 저명인사들도 많다. 대부분은 일본에서만 활동한 생소한 인물들이다. 역사적 비중이 적지 않음에도 인물사 연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이들이 다수 수록돼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측은 “‘사전’이 일제에 협력한 재일조선인 중 주요 인물들 정보를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친일인명사전’ 개정증보판 발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10여 년간에 걸친 한일 공동사업을 끝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한일 시민사회 연구자·활동가 상호간의 두터운 이해와 신뢰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제 시기에도 한일 민중은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를 지향했으며 민족을 넘어서 다함께 힘을 모아 전제 권력에 저항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전’ 발간은 민족문제연구소 주도 하에 한일 공동 편찬 방식으로 이뤄졌다. 일본 미즈노 나오키 교토대 명예교수, 히구치 유이치 전 고려박물관 관장과 김광열 광운대 교수가 공동편찬위원장을 맡아 편찬사업을 이끌었다. 이 밖에 한국과 일본 연구자, 활동가 38명,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조직한 편찬팀 등이 집필자로 참여했다.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재일조선인단체사전 1895~1945'. (사진=민족문제연구소)
박효선 기자 twinseve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