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심야약국, 사업 제도화 필요성 대두…홍보 '미흡'

정부 지원의 시범사업 참여 약국 61곳
약사에 대한 정당한 보상 필요성 대두

입력 : 2022-07-05 오후 4:28:14
서울 시내 한 약국 전경.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고은하 기자] 정부가 운영을 지원하는 공공심야약국 시범사업이 7월1일부터 시작됐다. 지난 1일부터 12월31일까지 6개월간 진행되는 시범사업에는 전국 61곳의 약국이 참여했다. 현재 정부 지원 공공심야약국은 시범사업 형태로 진행되는데, 국민의 건강권 측면에서 사업 제도화 필요성은 대두된다. 다만 공공심야약국의 홍보가 미흡하고, 약사에게 정당한 보상이 주어지지 않는 등 미흡한 점이 제기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지원하는 공공심야약국 시범사업이 이달 1일부터 시작됐다. 기존 지자체가 지원한 108곳의 공공심야약국에 더해 모두 61곳의 약국이 정부 지원 시범사업에 참여했다. 이에 공공심야약국은 시범사업으로 약국 수가 증가하면서 전국적으로 169곳의 운영 체제가 마련됐다. 
 
공공심야약국은 의료접근성이 취약한 심야시간대(밤 10시~다음날 오전 1시) 의약품 구매·상담 등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앞서 2012년 제주도를 시작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공공심야약국이 도입된 배경은 심야시간대에 의약품 구입 불편이 가장 큰 요인이다. 앞서 편의점에서 약 판매를 허용했지만 의약품 구매 불편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다. 일각에선 제도적인 부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 때문에 최근 정부가 운영을 지원하는 공공심야약국 시범사업은 국민의 의약품 접근성을 확보해 건강에 대한 기반을 형성하는 차원에서 시행하는 부분이다. 
 
이와 관련, 대한약사회 관계자는 "대한약사회는 편의점에 약이 구비된 후에도 국민이 의약품 구매에 불편을 겪는다는 것을 인지하고, 약사회의 예산을 들여 지역에 365일 약국과 심야약국을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런 부분들은 제도적으로 구축된 게 아니라 자생적으로 상황이 만들어졌다"며 "일부 지자체에선 정부의 지원이 있기 전부터 지방정부 예산으로 공공심야약국을 운영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 A씨는 "공공심야약국의 취지엔 동의하지만, 현재 밤 10시부터 새벽 1시까지 운영되는데 아쉬운 부분이 많다"고 토로했다.
 
A씨가 공공심야약국을 운영한 지는 며칠 안 됐지만, 밤 12시가 넘어가면 사람이 없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예전엔 유동 인구가 많았기 때문에, 운영 시간이 상관없었다. 다만 최근엔 사람들이 일찍 귀가해서 공공심야약국을 운영하기가 녹록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또 "일반 근로자도 야간에 근무하면 낮에 0.5배(야간 수당)를 받는 걸로 알고 있다"며 "약사의 수고가 시간당 3만원이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꼬집었다. 
 
서울 시내 한 약국. (사진=연합뉴스)
 
전남 순창군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 B씨는 "현재 공공심야약국을 운영하는데 손님들이 심야시간대에 2~3명씩 오고, 많을 땐 5~6명씩 온다"고 말했다.
 
B씨는 공공심야약국의 제도화 부문과 관련해선 "공공심야약국이 시범사업 형태로 진행되는데, 제도화로 가는 수순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약국에서 다루는 의약품은 타 상품과 달리 인간의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심야시간대에서도 이런 부분이 잘 관리되면 제도화에 동의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B씨가 심야시간대에 약국을 운영한 결과 일반의약품 중에선 해열제와 소화제가 많이 판매됐다. 
 
다만 B씨는 지역 주민들이 공공심야약국이 운영되는 부분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B씨가 운영하는 약국이 공공심야약국으로 확정받은 날짜는 6월20일이다. B씨 약국이 공공심야약국으로 확정받고, 이에 따른 간판을 단 건 6월27일이다. 다음날 B씨는 관련 팸플렛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B씨는 "지역 주민들이 공공심야약국이 운영되는 것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 같다"며 "제가 알기론 이를 담은 내용이 전문지에 소개된 걸로 아는데, 전문지의 특성상 약사들만 보기 때문에 주민들에게 홍보가 잘 안됐다"고 아쉬움을 내비쳤다.
 
고은하 기자 eunh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고은하 기자
SNS 계정 : 메일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