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조선중앙TV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일 서부지구 조선인민군(북한군) 특수작전부대 훈련기지를 현지시찰하고 전투원들의 훈련실태를 점검했다고 4일 보도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우크라이나전 참전을 위해 러시아로 넘어간 북한 특수부대원이 현재까지 약 3000명이며, 오는 12월까지 총 1만여명이 파병될 것이라는 국가정보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 러시아로 이동한 북한군은 현지 적응 중으로 전투 현장에는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집니다.
23일 국회 정보위원외 여야 간사인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과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조태용 국정원장의 보고를 받고 이같이 전했습니다.
국정원에 따르면 지난 8~13일 북한의 1차 이동 때 1500명이 러시아로 이동을 완료했고, 이후 1500명이 추가로 파병됐습니다.
박 의원은 "국정원은 약 1만여명이 투입될 것이라는 상당히 근거 있는 첩보를 제시했다"며 "러시아와 북한 간 계획한 약 1만여명 파병은 12월경으로 예상된다는 보고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국정원은 지난 18일 1만2000명 수준의 파병 규모를 예측했는데, 2000명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국정원은 "전투 현장에 파병되진 않았고 러시아 내 다수 훈련시설에서 분산돼 현지 적응 중인 것으로 보인다"며 "군사 장비 사용법·무인기 조종 등 특수교육도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파병된 북한군은 '폭풍군단'으로 불리는 특수작전군 예하 11군단으로 우리의 특전사와 비슷한 부대입니다. 러시아 내에서는 한국어 통역 자원을 대규모로 선발하는 동향도 확인됐습니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의 러시아 파병 대가는 1인당 월 2000달러 수준일 것으로 보입니다. 국정원은 현대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북한군인들이 전선에 투입될 경우 사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는데요. 북한 당국은 파병군인 가족에 대한 통제와 관리를 위해 집단 이주·격리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지난 6월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조약" 체결 직후부터 파병을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국정원은 전했습니다. 해당 조약 제4조에는 한 국가가 전쟁 상태에 놓일 경우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