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강석훈 산업은행장은 신년사에서 "정책금융 효과를 국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 그저 허울 좋은 말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정책금융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의지와 책임감이 담겨 있기를 기대해 본다. 그렇다면 전 국민이 체감하는 정책금융은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까.
한때 창업에 도전했던 시절이 있었다. 세상에 없던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원대한 목표로 시작했지만, 현실은 결코 녹록지 않았다. 결국 사업은 2년 만에 실패로 돌아갔고, 그 과정에서 창업가에게 자금과 환경, 그리고 이를 묵묵히 뒷받침하는 제도의 중요성을 절실히 깨달았다.
7년 전, 나 역시 정책금융의 도움을 받았다. 신용보증기금을 통해 1억원의 초기 자금을 마련했고, 서울시 지원사업 덕분에 종로구의 낡은 세운상가에 있는 창업지원 공간 '세운 메이커스 큐브'를 사용할 수 있었다. 초기 지원이라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맨땅에 헤딩하던 창업자에게는 한 줄기 희망이었다. 정책 자금을 받기 위해 밤을 지새우며 회사 소개서와 발표 자료를 준비하던 간절했던 순간들이 아직도 선명하다. 현재 정책 자금을 기다리는 이들의 심정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때와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정책금융 생태계는 분명 발전했다. 올해는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4개 주요 정책금융기관이 역대 최대 규모인 247조5000억원의 정책금융을 공급할 예정이다.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정책금융을 통한 산업 경쟁력 확보는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정책 자금의 규모와 대상이 확대되는 것은 물론 환영한다. 그러나 단순한 규모 확대를 넘어 자금이 실제로 필요한 곳에 정확히 배분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정책금융은 기업의 성장 단계별로 세심하게 설계돼야 한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예비 창업 단계부터 꿈을 현실로 만드는 초기 창업 단계, 자립을 위한 성장 단계, 스케일업, 그리고 글로벌 확장 단계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단계별로 정책금융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하며, 어느 단계도 소홀히 다뤄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서는 각 단계에 있는 수요자의 목소리를 정책 설계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자금이 필요한 기업들이 직면한 어려움과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책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다. 수요자 중심의 정책금융이 실현된다면 중소기업과 벤처·스타트업에 도약의 기회를 제공하고,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 속에서 든든한 사회 안전망이 될 것이다. 정책금융은 단순히 숫자가 아닌, 사람과 기업의 잠재력을 키우는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오승주 정책금융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