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원 민주당 의원이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4차 청문회에서 케이블타이 시연을 하며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질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707특수임무단(특임단)이 국회에 들고 온 케이블타이가 '포박용'이란 증언이 나왔습니다. 윤석열씨의 국회 단전 지시 내용을 들었다는 특전사 지휘관들의 증언도 있었습니다. 두 증언 모두 윤씨의 계엄 선포 행위를 적극 방어하려는 이들의 진술 내용과 배치되는 부분입니다. 국회와 헌법재판소에 출석한 증인들에 의해 거짓말이 속속 드러나고 있음에도 윤씨는 여전히 발뺌과 부인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케이블타이 용도는 문 봉쇄용?…"인원 포박용 맞다"
비상계엄 사태 때 국회에 출동했던 707특임단의 이성훈 작전관은 21일 국회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4차 청문회에서 계엄군이 국회에 가져온 케이블타이의 용도를 묻는 의원 질의에 "포박용이 맞다"고 밝혔습니다.
이 작전관의 발언은 해당 케이블타이의 용도가 국회의 '문 봉쇄용'이었다는 김현태 707특임단장의 주장과 배치되는 발언입니다. 앞서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9·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케이블타이는 인원 포박용이라고 증언했다가, 지난 6일 헌법재판소에선 문을 잠그는 용도였다"고 번복했습니다.
이 작전관은 해당 케이블타이에 대해 "테러범이 발생했을 때는 작전을 하며 테러범 포박을 하고 대형 재생 케이블 타이는 특수작전을 할 때 무엇을 고정하거나 할 때 사용하는 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그는 '문 봉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묻는 의원 질의에 "필요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직접 가져온 케이블타이로 묶는 방법을 시연하면서 "케이블타이는 사람을 묶도록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문을 봉쇄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의원 끄집어내라 지시 들었다"…군 인사들 잇단 증언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씨가 "국회 문을 부수고 의원을 끄집어내라", "국회 전기를 끊어라"고 지시했다는 진술도 다시 나왔습니다. 특히 많은 특전사 지휘관들이 이 사실을 증언했습니다.
이상현 특수전사령부 제1공수특전여단장은 "(12월4일 새벽) 00시50분에서 1시 사이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저에게) 보안폰으로 전화했다"며 "화상회의를 했는데 대통령께서 문을 부숴서라도 의원을 끄집어내라고 말씀하셨다"며 "필요하면 전기라도 끊으라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여단장은 '그 지시를 곽 전 사령관이 이 여단장에게 전달한 것이냐'는 의원 질문에 "네"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당시 이 여단장과 같은 차량에 탑승한 안효영 특수전사령부 제1공수특전여단 작전참모도 "(이 여단장의 진술은) 사실"이라고 힘을 실었습니다.
당시 곽 전 사령관과 지휘통제실에 함께 있었던 김영권 방첩사령부 방첩부대장도 "곽 전 사령관이 많은 전화를 받는 중에 긴장하면서 받는 전화가 있어서 누구 전화길래 저렇게 하는지 의구심이 들어서 옆 간부(특전사 주임원사)에게 물어봤는데, 코드1(대통령)이라는 걸 알게 됐다"고 전했습니다.
이 역시 윤씨의 주장과 상반되는 부분입니다. 윤씨는 '비상계엄 해제 요구권을 의결하기 위해 국회에 모인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 여부에 대해 부인하고 있습니다.
앞서 곽 전 사령관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6차 변론에 출석해 계엄 당일 윤씨와의 2번째 통화에서 "국회 의결정족수 안 채워졌으니 빨리 문 부수고 들어가, 인원 다 끄집어내라"라는 말을 분명히 들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윤씨는 자신이 '인원'이라는 표현은 쓰지 않는다며 반박했으나 이후에도 '인원'을 종종 언급해 사실과 다르다는 게 금방 드러났습니다.
이상현(오른쪽) 특수전사령부 제1공수여단장이 2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4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단전 지시 부인에도…"필요시 전기 끊어라" 증언 나와
탄핵 심판의 또 다른 쟁점이었던 윤씨의 국회 단전 지시 여부도 이를 부인한 윤씨 측의 진술과 엇갈리는 부분입니다. 김 단장 역시 지난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질의에 출석해 국회 단전 조치는 윤씨의 지시가 아닌, 곽 전 사령관 지시였다고 진술했습니다. 다만 국회 단전을 곽 전 사령관이 지시했다는 김 단장의 발언은 윤씨 지시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정치활동 금지'와 '처단' 등의 내용이 담긴 비상계엄 관련 포고령을 직접 작성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비밀번호 문제로 컴퓨터를 일체 사용할 줄 모른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윤씨 측은 포고령을 김 전 장관이 작성했고 당일 비상계엄이 순조롭게 해제된 만큼 위법성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비상계엄 당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군 병력 투입을 위해 여러 차례 '국회 길 안내'를 요청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양재응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은 "8차례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며 "병력을 안내해 달라는 취지의 말을 계속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저는 거듭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했다"며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고 협조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