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황민규기자] 카다피 사망으로 리비아 내전이 공식적으로 종식됨에 따라 정부가 입국절차 간소화와 피해보상 협상 등 현지 진출 건설사에 대한 지원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국토해양부는 25일 건설정책관 주재로 해외건설과, 각 대형건설사 임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방안을 주내용으로 한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우선 리비아 정부와 합작회사인 ANC(Al Nahr Co) 측에서 우리정부에게 대수로 관련 기술인력을 장기 파견해 줄 것을 희망함에 따라 연내 2차 기술팀, 기업별 자체 인도적 지원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포스코ICT는 현장내 유휴 장비를 활용, 다음달부터 3개월간 공사현장 인근 지역 도로, 주택 등에 대한 긴급복구 지원을 벌일 계획이다.
특히 진출한 기업의 신속한 현지 상황 파악을 위해 일괄비자 형태로 입국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다음달 중 민관합동 대표단을 파견, 현지 진출 기업에 대한 피해보상과 공사재개를 위해 발주처와 협의도 진행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리비아 전후 복구와 관련 국내 기업들이 피해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고 치안문제 등도 남아있어 지금 당장 전후 복구계획을 수정하기는 어렵다"면서 "하지만 원건설, 포스코 건설은 피해상황이 파악됐기 때문에 안전보장 문제만 해결되면 바로 인도적인 전후복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불확실성 해소됐다", 건설업계 '잰걸음'
지난 2월 중동 민주화 시위가 발발하기 전까지 리비아에는 대우건설과 현대건설 등 모두 21개 건설사(하청업체 포함 72개사)가 47개 사업장에서 105억달러 규모의 공사를 남겨놓은 상태다.
대우건설은 다음달 한국인과 제3국 임직원 20여명을 리비아로 보내 트리폴리 호텔 공사 현장을 점검하고 내전으로 파손된 유리창 등을 보수할 계획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호텔 건설공사는 이미 준공된 상태기 때문에 유리창 보수만 끝나면 연말 기념행사를 열고 곧바로 영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강신영 해외건설협회 지역2실장은 "현재 리비에 진출해있는 대우건설, 한일건설, 신한건설은 현지에 직원을 보내놓은 상태고 현대엠코 등 다른 회사들도 정부에 리비아 입국 허가를 요청 중이며 빠르면 10월말 경부터 본격적인 입국이 허용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국내 건설업계의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또 "카다피 사망으로 공사 재개 혹은 신규 수주가 1년 이상 앞당겨진다거나 그런 장밋빛 전망은 아직 시기상조"라면서도 "불확실성의 한 측면이 해소된 만큼 예상보다 빨리 현지 분위기가 안정되고 공사도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지난 6일 국내 건설업체 최초로 리비아 과도정부(NCT)의 비자 승인을 받아 선발대 20여명을 보낸 신한건설은 10월말 중으로 후발대를 보낼 예정이고 대우건설도 이달말 20여명을 추가로 파견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오는 28일 트리폴리 지사장 등 3명의 한국인 임직원을 선발대로 파견해 현지 정세와 공사현장 상황을 점검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선발대가 사태 추이를 주시하다가 안정이 되면 공사 장비와 인력 투입시기를 결정해 중단된 공사를 재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 건설업계는 '신중론'.."리비아는 여전히 불안한 상황"
하지만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일부 불확실성은 해소됐지만 여전히 불안한 상황"이라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내비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전후 복구 공사 관련해서 공사수주가 쏟아질 것이란 점은 확실하지만 아직까지 좀 더 신중해야하는 상황"이라며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을 두고 기업 입장에서 너무 돈 문제만 내세우는 건 모양세가 좋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강 실장은 "카다피 사망과 재건사업 본격화는 사실상 다른 각도에 놓여있다"며 "앞으로 과도정부가 어떻게 빨리 움직이는가에 따라서 발주, 하위 발주처 인사들도 결정이 되는만큼 접촉할 수 있는 포인트도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리비아 현지 상황을 조금 더 주시한 뒤 구체적인 전략이 나와야한다는 설명이다. 게다가 과도정부의 협의가 사실상 우리 정부 차원이 아닌 개별 업체별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리비아 재건사업 관련 수주에서 프랑스, 미국 등의 선진국에게 밀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진건설 관계자는 "미국, 영국, 프랑스가 전후 복구사업에서 우선권을 부여받게 될 것이 불보듯 뻔한 일"이라면서 "답보 상태로 중단됐던 공사 재개도 여러가지 조건이 맞아야 가능한 상황인데, 신규 수주는 아직 논할 단계는 아니다"라며 신중론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