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필현기자] 한국제약협회는 한국의사총연합이 ‘리베이트 제공 약정서’ 문건과 관련해 공개 사과하라고 요구한 데 대해 “불법자료를 놓고 흥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의총은 지난 24일 오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제약사들이 의사들을 상대로 조직적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만든 ‘리베이트 제공 약정서’ 문건에 대해 공개사과 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제약협회 핵심관계자는 25일 기자와 만나 “협회는 리베이트와 관련해 어떠한 사안에도 흥정하지 않겠다"며 "문제가 있다면 사법당국에 고발해 법대로 처리하라”고 잘라 말했다.
한의총이 다음달 3일까지 공개 사과하라고 요구한 것을 정면으로 거부한 것이다.
협회는 특히 일부 회원사들이 아직까지도 문제(리베이트) 인식을 하지 못하고 구태의연한 방법으로 로비를 하고 있다면 당연히 사법 당국으로부터 처벌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리베이트를 척결하기 위해 공정거래규약을 2번이나 수정하면서 운영위원회로부터 의견을 적극 수렴했다. 이 위원회에는 의사협회, 병원협회, 시민단체 등의 각계각층 인사들이 포함돼 있다”며 “더 이상의 리베이트는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리베이트 제공 약정서’ 문건을 공개하겠다며 기자간담회를 자청한 한의총에 대해서도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이 관계자는 “의사들은 도덕적으로나 윤리적으로 존경을 받아야하는 집단인데, 이번 처럼 불법자료를 통해 협회와 흥정하는 모습이 실망스럽다”며 “문제가 있다면 직접 사법 당국에 고발하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사법당국 역시 리베이트와 관련해 문제가 터지면 즉각적으로 개입해, 검찰 등 관계기관이 철저한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의총이 '리베이트 쌍벌제는 국내제약사들이 정부에 건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도 “노무현 정부때 한미FTA가 논의되면서 2008년 유럽상공회의소와 보건복지부간 ‘윤리협약’을 체결했는데, 이때 다국적제약사들이 건의한 것이 바로 리베이트 쌍벌제였다”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리베이트 쌍벌제 입법 당시 보건복지위 위원들이 적극적으로 주도했다”면서 “한의총이 억지 주장을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