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필현기자] 국내 상위제약사(매출대비)들이 의사들을 상대로 조직적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다시 또 제기됐다.
이 같은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올 해 2월 이경호 한국제약협회 회장이 “제약산업이 나아갈 할 방향은 불법 리베이트를 근절하는 것”이라며 했던 리베이트 척결 선언을 무색케하는 것으로 협회 위상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전국의사총연합회는 24일 오후 청담동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리베이트 제공 약정서’ 문건을 입수했다”고 밝혔다.
‘리베이트 제공 약정서’는 제약사가 의사들에게 조직적으로 로비하기 위해서 만든 문건으로 현재 7곳의 상위 제약사들이 포함돼 있다고 전의총은 설명했다.
전의총은 특히 “제약협회가 오는 12월 3일까지 ‘리베이트 제공 약정서’와 관련해 공개 사과 하라”고 촉구했다.
노환규 전의총 대표는 ‘리베이트 제공 약정서’ 문건 작성과 관련, "제품 담당 영업사원이 개인적으로 작성했지만 회사가 정책을 지원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라며 "결국 본사(회사)가 묵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연 이유와 관련 “의사가 리베이트를 받은 부도덕한 집단으로 매도되고 있다”며 “의사 명예를 회복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그는 제약협회의 공개사과가 없을 때에는 “모든 회원을 동원해 제약회사 리베이트 공세 시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해, 공정위에 고발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전의총은 리베이트쌍벌제가 잘못된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전의총은 "리베이트를 척결하고 제약산업을 발전시키겠다는 정부 정책 취지는 좋지만, 방법이 잘못되어 오히려 국내 제약산업 발전을 저해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