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공유경제(Sharing Economy)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고 있다. 공유경제는 유휴 자산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해 함께 쓰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로 정의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 및 인터넷 기술의 발전, 페이스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전과 더불어 공유경제 분야의 스타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공유경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가장 널리 알려진 곳은 우버(Uber)와 에어비앤비(Airbnb)이다. 차량 공유 중계 서비스인 우버의 시가 총액은 80조원, 숙박 공유서비스인 에어비앤비의 시가 총액은 35조원에 달한다. 15초에 한 대씩 자동차를 생산한다는 울산 공장을 가진 현대자동차 시가 총액이 35조원인 것을 비교해 보면 공유경제는 어마어마한 규모이다.
올해 8월 중국 최대 차량호출 서비스업체인 디디추싱(滴滴出行)은 우버의 중국법인인 우버차이나를 인수했다. 이 합병을 통해 이 회사는 기업가치가 38조원에 달하게 될 정도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율은 88%로 세계 1위이고 인터넷 보급율도 94%로 역시 세계 1위인데 왜 공유경제 분야에서 스타 기업들이 나오지 않을까.
우버는 우리나라에 지난 2014년 10월에 진출했으나, 택시업계가 강력히 반발하고 국토교통부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으로 판정했으며, 서울시가 우버 운전자에게 벌금을 부과하며 사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에어비앤비는 지난 2013년 1월 국내 진출 후, 2만여개의 숙소가 등록됐으나, 최근 건축법 위반 문제로 오피스텔 등록을 취소하는 등 성장에 빨간 불이 켜졌다.
공유경제의 가치는 자원 소유자와 사용자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자원의 소유자 입장에서는 남는 자원을 다른 사람과 공유함으로써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자원을 필요한 만큼만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 안전 및 신뢰도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기사나 호스트는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데 비해 여행자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를 갖게 된다. 이런 정보비대칭성 문제의 결과로 기사나 호스트가 바가지 요금을 부가하거나 약속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우버(Uber)와 에어비앤비(Airbnb)는 모두 소셜 네트워크 리뷰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신뢰를 제공한다. 우버는 기사의 이름과 차량 번호, 리뷰 내용 등을 공개하고 필요하면 기사와 쉽게 연락을 취할 수 있다. 에어비앤비의 경우, 방을 제공하는 호스트가 안전시설을 갖췄는지 표시하도록 하며, 다른 여행자들의 평가를 공유한다.
뉴욕대 순다라라잔 교수는 개인 간의 연결(P2P, Peer to Peer)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유경제가 발전한다고 진단한다. 정보기술이 발달하면서 회사가 제공하던 서비스를 개인도 플랫폼 상에서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 소비자들도 불황의 경제에 맞게 스마트해져서 필요한 만큼의 서비스만 받고 적은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문성과 비전문성의 경계가 구분이 모호해지는 것이다.
정부의 역할도 바뀌고 있다. 도시마다 우버에 대한 규제는 다르지만, 미국의 많은 시 정부들이 공항 교통문제를 우버와 함께 계획하고 우버는 시 정부에 운행차량에서 얻은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미국 샌프란시스코는 재난 시 에어비앤비의 숙소를 제공하는 계획을 준비하기도 했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우버는 첨단 기술인 자율주행 자동차 도입으로 수익성과 안전성을 높이겠다고 한다. 에어비앤비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를 접목한 스마트 홈 시스템 도입으로 신뢰성을 높이려고 하고 있다.
지금부터 100여 년 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사설 택시 지트니(Jitney)가 운영됐다. 5센트만 내면 다른 사람 차를 얻어탈 수 있는 차량 공유 서비스였다. 지트니는 크게 성공하여 1년 만에 로스엔젤레스에서만 하루 15만 명의 승객이 이용할 정도였다. 하지만 기존 대중교통 사업자들이 규제를 강화하였다. 지트니 운전수가 되려면 매우 비싼 면허증이 필요하게 됐고 하루 16시간을 필수로 운전해야 했다. 이런 불합리한 규제가 이뤄지고 5년 만에 이 혁신적인 지트니 사업은 사라지고 말았다. 공유경제와 관련한 새로운 실험들이 정부 규제로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지금이야말로 저성장 시대에 유망한 공유경제 비즈니스에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대학 글로벌경영학트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