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자동차 부품업계 위기가 심화되면서 국내 부품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물론 부품 업체들의 매출처 다변화 및 해외진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지난달 1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부품 업계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3조5000억원 이상의 자금 지원을 골자로 하는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국내 완성차 생산대수가 2015년 456만대에서 2016년 423만대, 2017년 411만대, 2018년 400만대 수준으로 하락하면서 부품 업계 수익성이 급감하는 등 위기에 처한 점이 감안됐다. 90개 부품상장사의 영업이익률은 2014년 4.3%에서 지난해 3분기 1.8%까지 하락했다.
지난해 11월14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국내 완성차, 부품 업계 대표 등이 모인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에서 업계 관계자들은 내수 활성화와 부품업계 경영위기 극복 지원을 가장 먼저 언급할 정도로 부품 업계 위기는 심각하다.
이호근 대덕대 교수는 "현대자동차의 영업이익률이 과거 8%일 때 부품 업체는 3% 수준이었다"면서 "지난해 현대차 영업이익률이 2.5%까지 하락했는데, 부품 업체 중 상당수는 적자로 전환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 외에도 우선 부품 업체의 매출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1차 협력사 851개 중 특정 완성차 한 곳과 전속 거래하는 업체가 391개로 45.9%에 달한다.
박재용 한국자동차미래연구소장(이화여대 교수)은 "예를 들어 한 부품 업체가 르노삼성이 위탁생산하는 닛산 로그의 부품을 생산하는데, 만약 위탁생산이 종료된다면 그 업체는 기술력이 있음에도 다른 업체에 납품하기 어려울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완성차 업체들이 부품 업체를 독점하는 시스템도 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이라며 "현재의 구조에서는 자동차 업계 추세가 내연기관차에서 친환경차로 바뀌더라도 부품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혁신하기는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정부의 자금 지원은 단기적인 방안이라는 점에서 정부가 올바른 생태계 구조를 만드는 데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 해외 진출을 시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제너럴모터스(GM)나 르노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거나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 협력을 통해 아우디 등 글로벌 메이커에 납품하는 방안 등도 거론된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