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이어 구광모 LG 회장과도 '배터리 회동'을 가지면서 미래차와 관련한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전기차 주도권 확보를 위해 기존 수직계열화 체제에서 탈피해 삼성·LG와 협업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 수석부회장과 구 회장은 22일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 LG화학 오창공장에서 비공개로 만나 배터리 생산 라인과 선행 개발 현장을 둘러보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동에는 알버트 비어만 현대·기아차 연구개발본부 사장, 김걸 기획조정실 사장, 박정국 현대모비스 사장이 동석했다. LG에서도 권영수 부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김종현 전지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LG화학이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장수명(Long-Life)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배터리 기술과 개발 방향성을 공유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기아차의 하이브리드 라인업과 현대차 코나 EV, 아이오닉 EV 등에 LG화학 배터리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2022년 양산 예정인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의 2차 배터리 공급사로 LG화학을 선정하기도 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이 구광모 LG 회장과 LG화학 오창공장에서 악수를 나누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앞서 정 수석부회장은 지난달 13일 삼성SDI 천안사업장을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나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인 전고체 전지 기술 현황을 살피고 미래 전기차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나눈 바 있다.
업계에서는 정 수석부회장의 최근 행보를 두고 일단 안정적인 배터리 수급을 위한 목적으로 해석했다. 현대·기아차는 2025년까지 총 44종의 친환경차를 선보일 예정이며, 이 중 절반이 넘는 23종을 순수 전기차로 출시할 예정이다. 또한 현대차는 2025년 전기차 56만대를 판매해 수소전기차 포함 세계 3위권 업체로 올라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아차는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을 지난해 2.1%에서 2025년 6.6%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최영석 선문대학교 스마트공학부 교수는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배터리 수급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출시 목표를 달성하려면 배터리 확보가 시급하며, 국내 배터리 업체들과 협업을 통해 이 문제를 해소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올해 신년회에서 미래 비전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또한 미래 자동차 분야는 전동화를 비롯해 자율주행, 센서, 정보통신기술(ICT)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울러야한다는 점에서 현대차그룹이 과거에 비해 적극적인 협업에 나선다는 분석도 나온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재 전기차 분야는 테슬라가 주도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혼란에 빠지면서 판도를 재편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면서 “한국형 배터리 어벤저스의 필요성은 몇년전부터 거론됐지만 본격적인 미래차 흐름에 대응하고 테슬라를 견제하기 위해서 더욱 절실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글로벌 자동차 분야의 기술변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현대차그룹도 과거 수직계열화 시스템에서 벗어나 전략적 협업이나 인수합병(M&A)에 적극 나서고 있다”면서 “삼성과 LG그룹도 배터리 외에도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성장동력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차그룹과 윈윈 관계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은 넥쏘를 통해 수소전기차 분야를 이끌어간다는 계획이다. 사진/현대차그룹
한편, 정 수석부회장은 높은 경쟁력을 갖춘 수소전기차 리더십을 더욱 확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신년사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수소전기차는 올해부터 차량뿐 아니라 연료전지시스템 판매를 본격화하고 나가아 수소 산업 생태계 확장을 이끌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수소전기차 전용 모델 ‘넥쏘’의 올해 국내 판매목표를 1만100대로 수립했다. 현재 넥쏘의 1회 충전 주행거리는 609km로 토요타 미라이(502km), 혼다 클래리티(589km)에 앞서고 있으며, 지난해 독일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모토&슈포트’는 넥쏘의 기술력이 독일차보다 앞선다는 평가를 내렸다.
고 센터장은 “버스나 트럭 분야는 전기차보다 수소전기차가 적합한데, 수소와 산소의 반응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스택의 기술향상과 가격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라면서 “이 부분에서도 현대차가 삼성, LG, SK 등과 협업에 나설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