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획 안티에이징 건강정보 건강사전 건강서적 오피니언 의학전문기자 알림 건강&질병 보건의료정책 병&의원 제약 명약백서 藥, 알고먹자 코스메슈티컬 피트니스 뷰티 푸드 건강한性 CEO의 건강비법 건강정보 헬스잡학사전 건강서적 베스트 신간서적 인터뷰 연재칼럼 의학칼럼
(현장에서)터미네이터와 AI 입력 : 2018-04-08 오후 2:31:19 크게 작게 박현준 산업1부 기자 영화 <터미네이터>는 지난 1984년 1편을 시작으로 후속편이 이어지면서 30년 이상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았다. 영화에서 그리는 미래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기계가 세상을 지배한다. AI 로봇은 인간에게는 불가능한 힘과 능력을 보유했다. AI 로봇에 비하면 한없이 약한 존재인 인류는 AI 로봇으로 기계 진영에 대응한다. 기계 진영의 로봇은 과거로 돌아가 인류의 핵심 인물을 제거하며 미래의 위협이 될 싹을 자르려 한다. 인간들도 AI 로봇을 과거로 보내 그 인물을 지키기 위해 기계 진영의 로봇과 싸우는 것이 영화의 기본 줄기다. 영화에 비하면 2018년 현재 AI 기술은 걸음마 단계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 플랫폼이 학습을 한다. 기업들은 이를 마케팅 등에 활용하며 이익을 추구한다. IBM·아마존·구글 등 글로벌 공룡들이 AI 산업을 주도하고 있지만 영화 속 AI 로봇에 비할 바 아니다. 로봇도 매장을 안내해주거나 산업 현장에서 단순 반복하는 일을 대체하는 정도다. 국내 기업들은 출발이 더 늦었다. 삼성전자·LG전자·SK텔레콤 등 내로라하는 기업들이 뛰어들었지만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소비자들은 아직 굳이 돈을 내고 AI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를 느끼지도 않는다. 반면 날로 똑똑해지는 AI에 대한 경계와 두려움도 존재한다. 지난 4일(현지시간) 세계 로봇 학자들은 이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UN의 자율살상무기 논의를 앞두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앞으로 어떤 협력도 하지 않겠다며 보이콧을 선언했다. 카이스트가 지난 2월 한화시스템과 함께 문을 연 국방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가 '킬러 로봇' 연관 기술을 개발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유가 됐다. 카이스트는 "센터의 목적은 살상·공격용 무기 개발이 아니라 방위산업 관련 물류시스템, 무인 항법 등에 대한 알고리즘 개발"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또 "통제력이 결여된 자율무기를 포함한 인간 존엄성에 어긋나는 연구활동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7월 페이스북은 자사의 이용자 응대용 AI가 자신들끼리만 알 수 있는 언어로 대화를 나누는 일이 빚어졌다. 페이스북은 시스템을 강제로 종료했다. 회사 측은 AI가 더 쉽고 빠르게 소통하기 위해 만든 자신들만의 언어라고 해명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AI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했다. AI가 인간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니 규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영화가 주는 경고는 이미 현실에서 그 가능성을 비쳤다. AI가 통제력을 상실하기 전 인간의 제어가 필요한 시점이다. 박현준 산업1부 기자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윤석열 파면)제약바이오 '불확실성 종식'…국내외 현안해결 시급 [IB토마토]젠큐릭스, 매출보다 더 뛴 채권…관리종목 문턱 앞 '밀어내기' 의혹 (경영승계 리포트)삼진제약, 창업자 2세 공동대표…융합 리더십 관건 (경영승계 리포트)제일약품 3세 한상철 공동대표…책임경영 입증해야 오스템카디오, 사업 영역 확대…'오스템바스큘라' 사명 변경 (경영승계 리포트)동화약품 오너4세 경영 본격화…실적개선 시급 파면 아님 파멸 동아쏘시오홀딩스, 올해 회계연도부터 비과세 결산 배당 재원확보 휴젤, 3대 톡신 시장 점유율 확대 집중 동아ST, 희귀면역치료제 R&D 확대…글로벌 시장 입지 확대 의학전문기자 건강칼럼 / Previous Next <의학전문기자 박종욱 대표원장> (영상)주택사업 호황…건설사 직원수도 실적 따라간다 <의학전문기자 이영진 대표원장> 가장 피해야 할 음경확대 부작용 '의존성' <의학전문기자 이영진 대표원장> 조루·발기부전을 치료해야 하는 5가지 이유 <의학전문기자 이영진 대표원장> 조루증은 왜 생길까 <의학전문기자 이영진 대표원장> 천연 정력제 쌀눈이 품은 옥타코사놀 기획 / Previous Next (윤석열 파면)제약바이오 '불확실성 종식'…국내외 현안해결 시급 [IB토마토]젠큐릭스, 매출보다 더 뛴 채권…관리종목 문턱 앞 '밀어내기' 의혹 (경영승계 리포트)삼진제약, 창업자 2세 공동대표…융합 리더십 관건 (경영승계 리포트)제일약품 3세 한상철 공동대표…책임경영 입증해야 오스템카디오, 사업 영역 확대…'오스템바스큘라' 사명 변경 프라임 더보기 삼성전자, 반도체주 급락에 평가손실 '눈덩이' 오케이대부, 부실채권 매입처 확대…불어난 이자 '고민' 시몬스, 매출 1위 굳히기…이익 늘리고 재투자 속도 고려아연, 정상화 '시동'…IB강화 노린 증권사 '눈독' (Deal모니터)키움증권, 1500억 회사채 발행…지난해 흥행 잇는다 (크레딧시그널)신한캐피탈, 부동산PF 부실로 수익성 '악화' 교원투어, 엔데믹에도 여전한 자본잠식…'분골쇄신' 총력 IBK연금보험, 파생 손실 넘은 환율 덕…흑자 전환 성공
많이 본 뉴스 (윤석열 파면)제약바이오 '불확실성 종식'…국내외 현안해결 시급 [IB토마토]젠큐릭스, 매출보다 더 뛴 채권…관리종목 문턱 앞 '밀어내기' 의혹 (경영승계 리포트)삼진제약, 창업자 2세 공동대표…융합 리더십 관건 (경영승계 리포트)제일약품 3세 한상철 공동대표…책임경영 입증해야 오스템카디오, 사업 영역 확대…'오스템바스큘라' 사명 변경 (경영승계 리포트)동화약품 오너4세 경영 본격화…실적개선 시급 파면 아님 파멸 동아쏘시오홀딩스, 올해 회계연도부터 비과세 결산 배당 재원확보 휴젤, 3대 톡신 시장 점유율 확대 집중 동아ST, 희귀면역치료제 R&D 확대…글로벌 시장 입지 확대 의학전문기자 건강칼럼 / Previous Next <의학전문기자 박종욱 대표원장> (영상)주택사업 호황…건설사 직원수도 실적 따라간다 <의학전문기자 이영진 대표원장> 가장 피해야 할 음경확대 부작용 '의존성' <의학전문기자 이영진 대표원장> 조루·발기부전을 치료해야 하는 5가지 이유 <의학전문기자 이영진 대표원장> 조루증은 왜 생길까 <의학전문기자 이영진 대표원장> 천연 정력제 쌀눈이 품은 옥타코사놀 기획 / Previous Next (윤석열 파면)제약바이오 '불확실성 종식'…국내외 현안해결 시급 [IB토마토]젠큐릭스, 매출보다 더 뛴 채권…관리종목 문턱 앞 '밀어내기' 의혹 (경영승계 리포트)삼진제약, 창업자 2세 공동대표…융합 리더십 관건 (경영승계 리포트)제일약품 3세 한상철 공동대표…책임경영 입증해야 오스템카디오, 사업 영역 확대…'오스템바스큘라' 사명 변경 프라임 더보기 삼성전자, 반도체주 급락에 평가손실 '눈덩이' 오케이대부, 부실채권 매입처 확대…불어난 이자 '고민' 시몬스, 매출 1위 굳히기…이익 늘리고 재투자 속도 고려아연, 정상화 '시동'…IB강화 노린 증권사 '눈독' (Deal모니터)키움증권, 1500억 회사채 발행…지난해 흥행 잇는다 (크레딧시그널)신한캐피탈, 부동산PF 부실로 수익성 '악화' 교원투어, 엔데믹에도 여전한 자본잠식…'분골쇄신' 총력 IBK연금보험, 파생 손실 넘은 환율 덕…흑자 전환 성공
많이 본 뉴스 (윤석열 파면)제약바이오 '불확실성 종식'…국내외 현안해결 시급 [IB토마토]젠큐릭스, 매출보다 더 뛴 채권…관리종목 문턱 앞 '밀어내기' 의혹 (경영승계 리포트)삼진제약, 창업자 2세 공동대표…융합 리더십 관건 (경영승계 리포트)제일약품 3세 한상철 공동대표…책임경영 입증해야 오스템카디오, 사업 영역 확대…'오스템바스큘라' 사명 변경 (경영승계 리포트)동화약품 오너4세 경영 본격화…실적개선 시급 파면 아님 파멸 동아쏘시오홀딩스, 올해 회계연도부터 비과세 결산 배당 재원확보 휴젤, 3대 톡신 시장 점유율 확대 집중 동아ST, 희귀면역치료제 R&D 확대…글로벌 시장 입지 확대
프라임 더보기 삼성전자, 반도체주 급락에 평가손실 '눈덩이' 오케이대부, 부실채권 매입처 확대…불어난 이자 '고민' 시몬스, 매출 1위 굳히기…이익 늘리고 재투자 속도 고려아연, 정상화 '시동'…IB강화 노린 증권사 '눈독' (Deal모니터)키움증권, 1500억 회사채 발행…지난해 흥행 잇는다 (크레딧시그널)신한캐피탈, 부동산PF 부실로 수익성 '악화' 교원투어, 엔데믹에도 여전한 자본잠식…'분골쇄신' 총력 IBK연금보험, 파생 손실 넘은 환율 덕…흑자 전환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