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미국 신정부 철강 알리미늄 관세 대응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4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통상 정책과 관련해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중국·일본과 양자 소통을 지속하는 한편, 다자 체제를 활용한 협력을 진행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2025 제1차 동북아 정책 포럼'을 개최하고 중국·일본 지역·경제 전문가들과 글로벌 경제·통상 환경 대응 방안을 논의하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글로벌 통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점에서 주요국의 대응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우리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을 상대로 한 미국의 10% 관세 인상 △중국의 보복관세 △미·일 정상회담에 따른 일본의 대미 투자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발표 등 글로벌 통상환경은 급변하고 있습니다.
정인교 본부장은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중국·일본과 양자 소통을 지속하고 한미일, 한일중 등 소다자 및 세계무역기구(WTO),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다자 체제를 활용한 협력을 진행해 우리 기업의 안정적 비즈니스 환경 조성을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미국의 정책에 따른 중·일의 대응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서 우리 통상당국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청했습니다. 특히 미·중·일과의 협의를 통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정적 공급망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