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보라 기자] 금융감독원이 8일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와 공동으로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금융교육 활성화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내·주요 선진국의 금융교육 사례를 참고한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교육 활성화 방안과 적극적인 자산형성이 중요한 청년기의 안정적인 자산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금융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오갔습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모두 발언에서 "교육자금 마련, 결혼과 출산 준비 등 청년층의 생애주기에 따른 재무의사결정을 위한 금융지식과 자산관리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청년 맞춤형 1:1 재무상담과, 실용적인 금융지식을 전달하는 특강을 통해 청년층의 재무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한편 'e-금융교육센터'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금융교육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이 8일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와 공동으로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금융교육 활성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왼쪽부터) 이석주 금융감독원 금융교육국 국장, 김성욱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강형구 한양대학교 교수, 김경연 금융감독원 재무상담사, 김미혜 서민금융진흥원 부장,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김자봉 금융연구원 박사, 이상건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장, 이상훈 전국대학생투자동아리연합(UIC) 회장, 주소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한재영 금융투자교육원장. (사진=금감원)
이날 '국내 및 주요 선진국의 금융투자교육 운영현황 및 시사점' 발제를 맡은 한재영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교육원장은 "학교를 통한 조기 금융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개인 자산관리를 위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저축형 중심의 지원정책 뿐 아니라 투자형 상품의 지원도 고려해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외에도 청년층의 특성을 고려한 재무·금융교육을 위해 자산형성 지원상품과 연계한 교육, 인공지능(AI) 기반 재무상담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안정적인 자산관리를 위한 금융투자교육이 필수가 됐다"면서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가 국내 유일 금융투자 교육기관으로 효과적 교육모델 마련 등 투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